금은화 첨가가 육계 생산r성과 장기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Lonicera japonica Thunberg on Productivity md Development of Intestinal Organs in Broiler Chickens

  • 발행 : 1992.03.01

초록

항 세균 및 항 Virus의 작용을 하는 금은화(LJT)와oxytetracycline의 첨가수준을 달리하여 육계에 3주간 급여 시 영계의 성장률,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과 도체율 및 각종 장기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고자 초생리 숫병아리 75수를 공시하였다. 처리별 시험사료는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을 거의 비슷하게 하고 첨가제로서 oxytetracycline을 0.04%와 0.34%, 금은화를 0.05%, 1.0%와 3.0%수준으로 첨가배합 하였다. 시험설계는 5처리 3반복 반복당 5수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하고, 철제 battery cage에 수용하였다. 3주령 영계의 증체량은 금은화(LJT) 0.5%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우수하였고, 가장 불량한 구는 oxytetracycline(OTC) 0.34% 첨가구이었다. 사료섭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고, 사료요구율은 OTC 0.34%첨가구에서 가장 높았고 LJT 1%첨가구에서 가장 낮았지만 유의성은 찾지 못했다. 영계의 도체율은 LJT 0.5% 첨가구에서 우수하게 나타났고 OTC 0.34% 첨가구에서 저조하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가슴고기 생산비율에 있어서 생체중에 대한 가슴고기의 비율은 LJT 1.0% 첨가구에서 타구에 비해 높으면서 유의성은 없었으나 도체량에 대한 가슴고기 비율은 LJT 1.0% 첨가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3%의 LJT 첨가구에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다리고기 생산비율 면에서는 생체중에 대한 비율은 LJT 0.5% 첨가구에서 높게 측정되었으며 유의성이 없으면서 처리수준 간에서도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도체량에 대한 다리고기 생산비율은 OTC 0.34%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음에 비하여 OTC 0.34%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머리무게는 처리간에 일정한 경향과 유의한 차이도 없었다. 가식장기의 생체중에 대한 비율에 있어서 간장은 OTC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LJT 1.0%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측정되었고, 근위의 생체중 비율은 LJT 1.0%에서 가장 무거웠으나 유의성과 처리간에 일정한 경향도 없었다. 심장의 중량비는 LJT 3% 첨가구에서 가장 무거웠으나 처리수준간에 일정한 경향과 큰 차이가 없었다. 면역기관인 강장과 활액낭의 중량비에서 처리간에 일정한 경향과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복강과 근위주위의 지방축적 비율은 LJT 1.0%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다.

Seventy-five commercial male day-old broiler chick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xytetracycline(OTC) and Lonicera japonica Thunberg(LJT) to be active in anti-bacteria and anti-virus on the growth rate, carcass rate and various intestinal organs sizes in broiler at 3 wk of age. Five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have similar protein and energy levels, with OTC 0.04% as low-level antibiotics and OTC 0.34% as high-level antibiotics and 0.5%, 1.0%, 3.0% level of LJT. Birds were housed randomly in 15 battery cages. Birds were 3 replicates per treatment and 5 chicks per replicate. In the body gain, 0.5% level of LJT addition grew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birds. The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were not significantly between other birds. The addition levels in OTC and LJT did not any consistent effect on the carcass rate. However, the chest meat percentage vs carcass volume in LJT 0.5% treatment and the leg meat percentage vs carcass volume in DTC 0.04% addition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birds fed other diets. The liver weight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TC 0.04% level. However, the 0% and LJT levels did not exert any consistent effect on the weights of gizzard, heart, bursa of fabricius, head and spleen of broilers. The abdominal and gizzard surrounding fat content rate was higher in bird LJT 1.0% level than birds fed other level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