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the Measurement Point for Wedge Factor

쐐기 인자 결정 깊이에 관한 연구

  • 김현자 (부산침례병원 치료방사선과) ;
  • 이병용 (아산재단 서울중앙병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학교실) ;
  • 김계준 (원주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배훈식 (강동성심병원,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최은경 (아산재단 서울중앙병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학교실) ;
  • 장혜숙 (아산재단 서울중앙병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학교실) ;
  • 안기정 (부산침례병원 치료방사선과)
  • Published : 1992.12.01

Abstract

Traditionally. the wedge factor of universal wedge is regarded as constant for small depth. Recently. some investigators have reported the beam hardening effect from wedged beam even in small depth. suggesting that the wedge factors are depth dependent values. Here authors performed the study to determine the proper depth of measurement for wedge factor. In this study. we have measured the wedge factors (nominal wedge angles 15, 30, 45, and 60) not only for depth maximum. but also for each depth, for several energies (4MV, 6MV, 10MV, and 15MV) of various machines (Varian, Siemens, Mitsubishi). And we have analysed the treatment depth of 614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wedged field at our hospitals to determine of the proper depth of the measurement point for wedge factor. More than 60% of the patients are treated at the depth of 8cm$\pm$2.5cm with the wedged field for various machines. energies, and wedge angles. The results of the wedge factor measurements show that the systemic error of average 2% (maximum 4%) might be inherently originated for the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wedged field if we adapt the depth maximum as the wedge factor determination depth due to beam hardening effect. But we could achieve average error less than 0.5% (maximum within 1.7%) if we use 8cm for wedge factor measurement point We conclude that the measurement depth point for wedge factor should be 8cm in order to deliver more accurate dose to target for Korean patients. instead of depth maximum.

쐐기 인자의 깊이 의존성 연구를 통하여 적절한 쐐기 인자 결정 깊이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4 MV, 6MV, 10MV, 15MV (사용가속기 Varian, Siemens, Mitsubishi) 선종에 대하여 명목 쐐기 각도 15$^{\circ}$, 30$^{\circ}$, 45$^{\circ}$, 60$^{\circ}$, 쐐기를 사용하여, 깊이 변화에 따르는 쐐기 인자 변화를 살펴보았다. 적정 쐐기 인자 결정 깊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중앙병원, 부산침례병원, 원주기독병원에서 1990. 1991. 12 사이에 쐐기를 이용하여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중 무작위로 614명을 추출하여 사용 에너지별, 쐐기 각도별, 치료 깊이별 분석을 시도하였다. 전체 환자의 60% 이상이 8cm$\pm$2.5cm 깊이에서 치료를 받았다. 쐐기 인자를 선량 최대 깊이로 결정할 경우 모든 환자가 평균 2%(최대 4%)의 치료 오차를 갖게 된다. 그러나 8cm깊이를 쐐기 인자 결정 깊이로 할 경우 평균 0.5% 선량 오차 이내로(사용가속기 기종, 에너지, 쐐기 각도에 관계 없이 최대 오차 1.7% 이내) 정확한 치료를 받을 수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쐐기 인자는 5-10cm(8cm) 깊이에서 결정되는 것이 합리적인 것을 알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