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C-Content for Ti Surface-Alloying Treatment on Steel by $CO_2$ Laser Beam

레이저 빔에 의한 철강재의 Ti 표면합금화에 미치는 C함량의 영향

  • Choe, Jun-Yeong (Dept.of Materials Science Engineering, Engineering College, Yonsei University) ;
  • Kim, Do-Hun (Dept.of Materials Science Engineering, Engineering College, Yonsei University)
  • 최준영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금속공학과) ;
  • 김도훈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금속공학과)
  • Published : 1992.12.01

Abstract

When $N_2$was used as shielding gas during the formation of Ti surface-alloyed layer by irradiation of $CO_2$laser beam on steel, TiN and F$e_2$Ti were formed regardness of carbon-content in steel. When Ti content was increased in low carbon-content steel, formation of martensitic structure was suppressed due to increase of critical cooling rate for martensitic transformation. In case of high-carbon steel, even though Ti content was about 1.5% in alloyed layer, hardness was increased by formation of martensitic structure instead of ferrite. In addition to that structure, hardness was incrreased further by precipitation of TiC in Ti alloyed-layer of high carbon-steel.

레이저빔에 의한 철강재의 Ti 표면합금화에 미치는 C함량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철강재상에 Ti 코팅 후 레이저빔 조사시 질소를 취입가스로 사용하면 부분적으로 TiN과 F$e_2$Ti가 형성된다. 저탄소강의 경우 Ti함량의 증가에 따라 임계냉각 속도의 증가로 마르텐사이트화가 억제된다. 고탄소강의 경우 Ti의 함량이 1.5%정도 임에도 훼라이트 조직이 형성되지 않고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형성되어 경화된다. 그리고 고탄소강의 Ti 표면합금층 형성에 부분적인 TiC의 석출이 있어 더욱 경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J. Mater. Sci. v.19 C.W. Drapher;C.A. Ewing
  2. 대한금속학회지 v.23 no.11 김도훈;김영곤
  3. Proceeding of LAMP '87 Osaka T.H. Kim;M.G. Suk
  4. Opto Electron Magaz. v.4 no.518 T.H. Kim;M.G. Suk;B.S. Park;K.H. Suk
  5. J. Mater. Sci. v.25 T.H. Kim;B.G. Seong
  6. Metal Handbook(8th ed.) v.8 ASM
  7. 금속학회지 김도훈;최준영
  8. 레이저가공학 김도훈
  9. Principles of Heat Treatment of Steel G. Krauss
  10. 금속재료학 v.237 양훈영;김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