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oduction Planning System for Assembly Process of Offshore Structure Modules

해양구조물의 모듈조립공정을 위한 생산계획법

  • 김정제 (울산대학교 조선 및 해양공학과) ;
  • 박소흠 (현대중공업(주))
  • Published : 1992.03.01

Abstract

Considerable number of offshore platforms have been built in Korean shipyards ever since 1976. Unlike for the cases of building ships, however, negligible efforts have been made to establish planning methodology for building onshore platforms. Severe congestion has been shown in the processes of assemblying modules of platforms. The module which is the upper part of a platform is a steel structure accommodating various types of outfittings and machinaries. The production planned without proper consideration on allocating work loads by trade used to show severe interferences among trades of workers and resulted in delayed completion. In this paper, a method of planning module assembly in consideration of leveling work loads by trade is discussed. A system of planning has been formulated and tested on a exampled case of producing a mix of 72 modules. The test showed a possibility of saving 31% of manpower and trimming 11% of through put time.

해양구조물(Offshore Platform)은 우리나라 조선소에서도 1976년이후 꾸준히 시공되어져 왔으나, 이미 체계화되어 있는 선박 건조와는 달리 이 분야에 대한 정보와 연구가 적어,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원계획과 일정계획 등 생산계획 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구조물 건조과정중 모듈조립에 대한 효율적인 생산계획법을 제안하였다. 모듈은 해양구조물의 상부구조에 속하며 바다에서 설치할 때 해상 크레인의 용량제한 때문에 상부구조를 몇 개로 나눈 것이며, 성냥갑 모양이다. 모듈조립에는 구조, 의장, 도장 등 여러 직종의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 져야 하고, 작업들이 상호연계되어 있어서 이 들 직종간의 간섭이 있고 한 직종의 작업지연으로 다른 직종의 작업지연을 유발시켜 공정의 흐름이 정체되어 전체공기가 지연되는 사례가 허다하다. 결국 초기의 부적합한 인원투입으로 공사의 말기에 잔업, 철야, 외주 등 집중 인원투입으로 출혈 공기만회에 임하게 된다. 이런 현상은 원천적으로 초기 생산계획시 호환성이 없는 여러 직종의 인원을 동일한 작업자로 간주하고 계획수립을 하는데 기인한다. 모듈조립 공사에 대하여 소요 인력(Manpower)에 대한 표준모델을 설정하여, 직종별 자원분배의 평준화로 최적의 인력을 투입할 수 있는 생산계획법을 제안하고, 일정 기간에 24개의 프로젝트 즉, 72개의 모듈을 처리하는 실제의 예에 대한 생산계획 시스템을 전산화하여 시험함으로써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시험결과 한 프로젝트에 대한 1)공기면에서 18개월에서 16개월로 2개월(11%) 단축, 2)투입인원면에서 총투입 300명에서 208명으로 92명(31%)절감 등을 예상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