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eeding Rates and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on the Agronomic Charicteristics , Nutritive Value and Forage Yield of Spring Oat

파종량 및 질소시비수준이 봄 연맥의 생육특성 , 사료가치 및 사초수량에 미치는 영향

  • 한건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김동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Published : 1992.03.01

Abstrac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eding rates and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nutritive value and forage yield of spring oat(Avena sativa L.). This experiment was undertaken over a period of 2 months from September to November, 1987.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Increased seeding rates of 120, 160 and 200kg/ha decreased emergence rates by 93.4, 71.4 and 70.6 %, respectively(P<0.05). Tillering was decreased by higher seeding rates(P<0.05) and that of 120kg/ha of seeding rate with 200kg/ha of nitrogen fertilization level was highest by 3.3. Among three seeding rates, tillering of 200 kg/ha of nitrogen fertilization level was lowest by 2.1. Leaf width was influenced by seeding rates. When seeding rate was increased, narrow leaf width (P

본 시험은 봄 연맥(Avena sativa L.)에 대한 파종량및 질소시비수준이 생육특성, 사료가치 및 사초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1987년 9월부터 11월 까지 약 2개월간에 걸쳐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솔은 파종량이 ha당 120,160 및 200kg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93.4, 71.4 및 70.6%로 낮아졌다(P<0.01) 2. 분벽솔 발생은 파종량의 증가에 대하여 유의적인 감소가인정되어(P<0.05), ha당 파종량 120kg, 질소시비수준 200kg인 구가 3.3개로 가장많았던 반면 파종량이 200dkg으로 높아지면 2.1개로 낮아졌다.3. 엽폭은 파종량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엽폭은 감소하였으며 (P<0.05), 엽신장은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에 의해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파종량이 낮을수록 엽신장은 약간 증가되는 경향만을 나타내었다. 4. 초장은 질소시비수준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파종량의 증가에 대하서는 유의성을 나타내어(P<0.05), 파종량이 높아질수록 초장은 깅어졌다.5.파종량이 낮고 질소시비량이높은 시험구가 조단백질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P<0.05).질소시비효과가 커서 질소시비수준이 ha당 100,150,200kg으로 높아짐에 따라 19.3,20.2,및 21.4%로 조단백질 함량이 높아졌다. ADF와 NDF는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함량의 변화가 없었지만 MDF함량에서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에 의한 상호작용만이 인정되었다. In vitro 건물소화솔은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증가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만을 나타냈다.6. 파종량이 120,160, 및 200kg/ha로 증가되면 건물수량도 ha당 3,197,3.583 및 3.713kg로 증가되었으나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건물수량 증가는 그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7. 조단백질수량은질소시비수준 증가에 의해서만 고도의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어(P<0.01), 질소시비수준이 ha당 100,150,및 200kg일때 증가되었다.8. In virto 가상화건물수량은 파종량이나 질소시비량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지 않았다. 본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청예리용을 위한 봄 연맥의 파종량은 연맥의 가을철 청예로서의 이용적 측면을 고려해 볼 때 ha 200kg 정도로 높여주고 질소시비수준은 ha당 100kg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