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연 강수량

Statistical nature of the dry and wet periods defined in the time series of annual precipitations (1771-1990) of seoul

  • 임규호 (서울대학교 대기과학과)
  • 발행 : 1992.09.01

초록

측우기와 근대 우량계로 관측한 서울의 연강수량 시계열을 분석하였다. 측우기로 관측된 1771년부터 1907년 사이의 강수량과 1908년 이후부터 1990년까지의 근대 우량계에 의한 강 수량 시계열을 특별한 보정없이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근대 우량계에 의한 후반부 자료는 기상청 발표자료이며 전반부의 고대 관측 자료는 와다가 측우기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월 별 강수량을 단위 환산후 수록한 그의 저서 내부의 표1을 이용하였다. 전 분석기간을 3 부 분으로 분리가능하였으며 이를 객관화하기 위하여 원시 계열을 9년 이동평균하여 구한 시계 열과 년강수량 1050mm를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우리는 분석기간의 대부분을 습윤시기1, 건 조시기, 습윤시기2 로 분리 명명하였다. 통계적인 특성상 습윤시기1 과 2는 동일집단으로 간 주 가능하나 습윤시기와 건조시기는 그렇지 못하다. 통계적인 특성상 습윤시기 1과 2의 강 한 동질성은 측우기 자료의 신빙성을 높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고대 측우기 관측에 동반 되었을지 모르는 여러 가지 제약들, 예를 들면 관측 장소와 측정단위의 불명확성 그리고 서울의 도시화와 관련된 제반 기후 변화등을 고려하면 더욱 더 그러하다. 그러나 건조시기와 습윤시기의 강수 변동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는 승정원 일기와 같은 고 문서에 산재하는 측우기로 관측된 일 강수량을 재 발굴하여 분석하는 것이 시급하다.

We analyzed a time series composed of the annual precipitations of Seoul based on the measurements of a Korean raingage and a modern raingage. The precipitations measured with a Korean raingage for the period of 1771 to 1907 are followed by the precipitations with a modern raingage for the period of 1908 to 1990. The latter part of the time series of annual precipitations were obtained from a book for annual precipitations of Korea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he former from Wada's table 1 for monthly precipitations reproduced from the daily rainfall measurements by a Korean raingage for the period of the Yi Dynasty. In our analysis three different precipitation regimes clearly stand out of the entire period. In order to define objectively the period of each precipitation regime we made a time series of 9 year moving averages from the above time series. By taking into account the shapes of the moving average time series and by using a threshold value of annual precipitation 1050 mm, we defined three precipitation regimes of wet period 1(WP1), dry period (DP), and wet period 2 (WP2). The WP1 and WP2 show very similar characteristics in out statistical analyses. On the other hand, DP is very different from the two periods in many statistical aspects. The strong similarities of the WP1 and WP2 regimes in the magnitudes of statistical parameters and in the shapes of their power spectrum distribution are supporting very positively the soundness of precipitation amounts measured with a Korean raingage in spite of numerous conceivable errors which might have been introduced into measurements of precipitation due to changes of observation site and environment, the scale of units employed, and urbanization of Seoul, etc. However, the annual precipitation amounts are not enough to examine throughly the characteristic of precipitation variations during the two regimes. It is definitely necessarly to recover the daily amounts of precipitation, based on two or three times measurements of rainfall with a Korean raingage, scattered in various ancient documents such as the official diary of 'Seungjeong-we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