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강도콘크리트의 동결융해저항에 미치는 기포조직의 영향

Effect of Air Void System of High Strength Concrete on Freezing and Thawing Resistance

  • 김생빈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발행 : 1992.03.01

초록

콘크리트의 내동해성은 일반적으로 공기량이나 기포조직 및 분포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으며 콘크리트의 강도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에 미치는 공기량 및 기포조직 특히 간격계수의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로서 우선 압축강도는 Non-AE콘크리트를 대상으로 400-500kg/$\textrm{cm}^2$를 목표로 하였고, 실험결과 내구성지수가 10~20%정도에 불과하므로 다음단계로 공기량 2~12%인 AE콘크리트로 하여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였다. 이 때 단위시멘트량, 물\ulcorner시멘트비등을 변화시킨 20종류의 콘크리트 배합에 대해 500cycle까지 동결융해시험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동결융해의 저항성은 물\ulcorner시멘트비 보다는 공기량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고 임계내구성지수에 대응하는 간격계수는 물\ulcorner시멘트비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frost-resistance of concrete is much affected by the air content in concrete and by the air void system or air distribution. And also the frost-resistance is believed to vary with the stre¬ngth of concrete. This article is prepared to describe, based on experiment, the effect of the air content and the air void system, particularly the effect of the spacing factor, on the freeze-thaw resistance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For this purpose, I first worked on Non-AE concrete to make its compressive strength set about 400 to 500 kg/em'. However, the freeze-thaw test on the Non-AE concrete resulted in low durability factor, I.e., 10-2~0%. Thus to enhance the durability, another supplementary step was needed. I used AE admixture. which enhanced durability by changing the air content from 2% to 12%. The frost-thaw test was then performed 500 cycles on the 20 kind of concrete mixtures which differ in unit cement content and in water-cement ratio. Keywords : frost -resistance, air content, air void system, air distribution, spacing factor, freeze-thaw test, dur ability factor. capillary cavity, Linear Traverse Metho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