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aterial Properties of Admixed Liners for Waste Fill

폐기물 매립장을 위한 혼합 차수재의 물성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92.09.01

Abstract

This paper represents the physical and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admixed liners obtained from several laboratory tests. Fly ash and weathered granitic soil are selected as primary materials, and bentonite and cement are used as additives. The results show that the maximum dry density reaches peak values at 5% and 25% of bentonite for Seochon and Samchonpo fly ash respectively, and for the weathered granitic soil, the maximum dry density increases continuously as the amount of bentonite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admixed materials is not sensitive to the bentonite content, although it increases when the additives is cement. The required amount of bentonite to reach the hydraulic conductivity less than 10-7cm/sec are 18, 30, 10% of the sample weights for Seochon and Samchonpo fly ashes and the weathered granitic soil. The amount of additive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nd depend on the grain size and their distributions and the amount of fine content in the primary materials

요지 국내 폐기물 매립장에서 캡 및 바닥차수재로서 이용이 기대되는 혼합차수재를 선정하여 이들의 재료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물리, 역학적시험을 실시하였다. 혼합차수재의 주재료로는 플라이애쉬와 화강토 그리고 첨가제로는 벤토나이트와 시멘트를 선정하였다. 본 차수재에 대한 시험결과 최대건조밀도는 서천 및 삼천포 플라이애쉬 혼합재의 경우 벤토나이트 함량이 5%와 25%인 지점을 전후로 하여 증가 감소하고 화강토 혼합재의 경우 벤토나이트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강도는 벤토나이트 첨가의 경우 증감현상이 뚜렷하지 않았지만 시멘트 첨가의 경우는 크게 증가하였다. 혼합차수재의 투수계수가 1$\times$10-7cm/sec가 되기 위한 벤토나이트의 첨가량은 서천 및 삼천포 플라이애쉬 그리고 화강토의 경우 각각 18, 30, 10%로나타났으며 주재료의 입도분포, 점토성분함유정도에 따라 첨가제의 필요 함량이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