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 and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of Bacteria in the Sediment of South Sea, Korea

남해 퇴적토에서 종속영양 세균의 분포 및 세포의 효소 활성력

  • 김상진 (한국해양연구소 해양미생물 연구실) ;
  • 이건형 (군산대학교 생물학과)
  • Published : 1992.10.01

Abstract

In the periods of July 31 to August 10. 1988 and March 9 to 13. 1989.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outh Sea stations (010] to 092]) located in the area from $N 32^{\circ}$/30' to $34^{\circ}$/30', of latitude and from E $123^{\circ}$ 30' to $128^{\circ}$30' of longitude. These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 number of total heterotrophic bacteria and extracellular digesting enzyme activities. In the 1989 spring period the number of heterotrophic bacteria in the sediment surface layer was increased more than 100 times at the maximum compared to that in the 1988 summer period. The proportion of fresh water bacteria to total heterotrophic bacteria was also higher in the spring period than the summer period. The extracellular digesting enzyme activities were higher in spring season than summer. Although the water content of sediment in the spring period was lower than that the summer period. the ash weight indicating organic material content was higher. These results means that the diameters of sediment particles were larger in spring than summer but the input of organic material into the sediment was greater. Based on these results bacterial distributions in the sediment layer of South Sea depend greatly on the season due to the effect of fresh water. During the spring season plankton could grow extensively owing to the inorganic nutrients input by the vertical mixing in the water column, then be precipitated into the sediment. Organic nutrients supplied from enzymatic degradation of polymeric particle from plankton can increase the bacterial number, too.

제주도를 중심으로 한 남해해역 ($123^{\circ}$/30'E-$128^{\circ}$/30'E, $32^{\circ}00N-34^{\circ}$ 30'N)을 대상으로 퇴적토 시료를 1988년 7월 31일부터 8월 10일, 1989년 3월 9일 부텨 3월 13일에 걸쳐 2회 채취하였다. 퇴적토시료는 숙성된 해수와 증류수를 각각 넣은 ZoBell 2216 E 평판배지를 사용하여 해양 세균과 담수 새균을 계수하였고 종속영양 세균분포와 세포외 효소활성을 측정 분석하였다. 종석영양세균의 분포는 하계의 경우 해양 세균과 담수 세균 각각 $0.3{\times}10^{6}~15{\times}10^{6}/cm^{3}$ sediment, $0.3{\times}10^{7}~30{\times}10^{7}/cm^{3}$ sediment, $0.01{\times}10^{6}~19{\times}10^{6}/cm^{3}$ sediment로 나타났다. 1989 년 춘계, sediment 표층 종속영양 세균의 절대값은 정점에 따라 1988 년 하계에 비해 최고 100배 이상으로 상승하였고, 대부분의 정점에서 많은 세균수를 관찰할 수 있었다. 한편 총세균에 대한 담수세균의 비율은 하계보다 춘계에 항승하는 결과를 나타냇다. 퇴적토 함수율은 하계보다 춘계에 낮게 나타났으나 유기물량을 나타내는 회분량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춘계에는 하계에 비해 입자가 큰 최적토가 많이 분포되어 있으나 유기물의 유입이 많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때 남해해열 퇴적토 세균군집은 계절에 따라 매우 높은 분포를 보이고 이 요인으로는 육수의 유입으로 인한 영향을 들 수 있다. 또한 춘계에 해수의 혼합으로 무기영양물질 공급이 일어나고 이어 증식한 프랑크톤이 침강하여 퇴적토에 유입되므로써 세포외 효소 활성력이 높은 세균에 의해 고분자물질이 분해되고 이로 인한 영양물질 공급이 세균상승의 원인 중 하나일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