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Agglomeration of $Nb_20_5$ on Formation Reaction, Sintering and Dielectric Properties in$Pb(MG_{1/3}Nb_{2/3})O_3$

원료분체 $Nb_20_5$의 응집상태가 $Pb(MG_{1/3}Nb_{2/3})O_3$소결, 유전특성에 미치는 영향

  • 조영국 (경북대학교 무기재료공학과) ;
  • 김진호 (경북대학교 무기재료공학과) ;
  • 박병옥 (경북대학교 무기재료공학과) ;
  • 조상희 (경북대학교 무기재료공학과)
  • Published : 1992.02.01

Abstract

Effect of agglomeration of $Nb_20_5$ of the same primary particle size on formation reaction and sintering of $Pb(Mg_{1/3}\;Nb_{2/3})O_3$ was examined. Both solid state reaction and molten salt synthesis were adopted. With decreasing agglomeration of $Nb_20_5$ increased the rate of formation reaction of perovskite PMN in solid state reaction, but had little influence in molten salt synthesis. It was concluded that the increase in the inhomogeneity of the dispersion state of intermediate pyrochlore with increasing agglomeration of $Nb_20_5$ retarded the formation reaction of perovskite PMN in solid state reaction, while had little influnce in molten salt synthesis due to its solution - precipitation mechanism -mainly depends on powder surface area.

일차입경이 동일한 $Nb_20_5$분체의 응집 상태가 $Pb(Mg_{1/3}Nb_{2/3})O_3$의 생성 반응 및 소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합성 방법으로는 고체 반응법과 용융염법으로 나누어 각각 실험하였다. 고체 반응법의 경우에는 perovskite 상의 생성 반응이 $Nb_20_5$의 응집도가 낮을수록 크게 영향을 받았으나, 용융법시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 이유는 고상 반응법시에는 perovskite 상의 생성이 중간생성물인 perovskite 상의 분포의 균일성, 즉 $Nb_20_5$의 응집도에 지배를 받게되나, 용해, 석출 과정에 의해 진행되는 용융염법에서는 반응물의 비표면적에 의존하므로, 응집도에는 그다지 영향을 받지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