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surement of 150 kDa protein of Taenia solium metacestodes by antibody-sandwich ELISA In cerebrospinal fluld of neurocystlcercosls patients

뇌 유구낭미충증 각자 혈청 및 뇌척수액에서의 유구낭미충 낭액항원의 측정

  • Cho, Seung-Yull (Department of Parasitology,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Kong, Yoon (Department of Parasitology,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Kim, Suk-Il (Department of Parasitology,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Kang, Shin-Yong (Department of Parasitology,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조승열 (중앙대학교 의과학연구소 및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공윤 (중앙대학교 의과학연구소 및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김석일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강신영 (중앙대학교 의과학연구소 및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Published : 1992.12.01

Abstract

An antigenic protein in cystic quid of Taenia solium metacestodes (CF) of 150 kDa was measured by antibody-sandwich ELISA in serum and cerebrospinal quid (CSF) of neurocysticercosis patients. Capture antibodies were rabbit antisera against CF (RACF) and a monoclonal antibody (MAb) against 150 kDa protein in CF. Lower limit of antibody-sandwich ELISA was 8 ng/ml of the protein. Except CF, no tested helminthes extracts reacted. Levels of the protein in 351 sera from 255 patients (55 surgery confirmed and 202 antibody and CT/MRl confirmed) were below sensitivity of the assay. Of 276 CSF from 212 patients, 31 samples (11.2%) showed positive findings. This assay, therefore, was not sensitive enough to be a diagnostic. Instead, the 150 kDa protein appeared in CSF in such situations as in 2 days after prasiquantel treatment, or as in a patient infected with a racemose cysticercus with degenerated cyst wall. Of cases whose follow-up CSF were assayed, 2 cases showed that the protein appeared intermittently, These results suggest strongly that appearance of free 150 kDa protein is associated with cyst wall rupture. In CSF which contained the 150 kDa protein over 61 ng/ml, the protein was recognized in 505-PAGE before and after immunoprecipitation.

뇌 유구낭미충증 진단에는 영상진단을 가장 널리 이용하고 있으나 낭미충증의 영상진단은 감염충체수, 감염경과 기간, 감염위치 및 포도낭미충 존재여부 등에 따라 소견이 매우 다양하므로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는 혈청학적 진단이 요구된다. 이때에 이용하는 혈청학적 진단 방법은 특이항체를 혈청이나 뇌척수액에서 증명하는 것이나 몇 가지 경우에 위음성 반응을 나타내어 민감도가 낮은 결점이 있다. 민감도가 낮은 경우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시, 또 기생충에서 유래하는 특이항원을 측정함으로써 항체측정 때 나타나는 교차반응을 최소화하고, 충체검 출에 준하는 진단방법으로서 유구낭미충 특이항원을 환자 혈청 및 뇌척수액에서 측정하는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구낭미층중 환자에서 이중항체-효소면역 측정 법을 실시하여 유구낭미충의 낭액 항원의 구성 단백질을 측정하였다. 항원반응용 항체로는 낭액으로 감작시킨 토끼혈청과, 낭액을 구성하는 단백질중 150 kDa 에만 반응하는 단클론항체를 이용하였다. 이중항체-효소면역측정 법으로는 150 kDa단백질을 8ng/ml까지 측정할 수 있었고, 61ng/m1 이상에서는 농도에 따른 흡광도 차이가 적었다. 이 방법으로 스파르가눔, 간흡충, 폐흡충, 요꼬가와흡충, 간질, 고래회충 제 3기유충 및 선모충 등의 생리식염수 추출액을 검색한 바 모두 음성반응이어서 특이도가 높다고 판단하였다. 뇌 유구낭미충증으로 진단한 환자 255명의 혈청 351개를 측정한 바 측정 가능범위 에 미치지 못하여 모두 음성이었다. 환자 212명에서 얻은 뇌척수액 276개 중 31개 (11.2%)는 양성이었다. 이와 같이 민감도가 낮아 항인측정법은 진단용으로 이용하기 어렵다고 생각하였다. 뇌척수액에서 150kDa단백질이 증 멸된 환자는 프라지관텐 치료 후 2일이 경과한 경우, 그리고 약제치료에도 불구하고 임상결과가 불량하여 결국 외과적으로 충체를 제거한 바 낭벽이 초점 성으로 변성된 포도낭미충에 감염되었던 환자의 뇌척수액에서 불규칙하게, 양적으로는 일정하지 않게 출현하였다. 150kDa 단백질은 뇌 낭종성 병변에서 채취한 낭미충 낭액에서도 측점할 수 있었다. 그리고 150kDa단백질의 농도가 61 ng/ml이상인 뇌척수액이나 외과적으로 얻은 낭액으로 SDS-폴리아크릴아미드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150kDa 단백질의 subunit인 15, 10, 7kDa를 증명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