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zation of mook(starch-gel food) forming starches

묵 형성 전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Kweon, Mee-Ra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Ra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im, Kyung-Sook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Ahn, Seung-Yo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권미라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성란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임경숙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안승요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2.04.30

Abstract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olecular structure of cow pea, mung bean and acorn starches(mook-forming starches) and red bean, wheat and sweat potato starches(mook-unforming starches) were investigated. Amylose contents of cow pea, mung bean and acorn starch were higher than the others. Cow pea starch was similiar to mung bean starch in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by Brabender amylogram but cold viscosity of red bean starch and peak viscosity of sweet potato starch were especially high. Whereas viscosity of wheat starch was low in whole temperature range. Amylose molecules of larger molecular size$(above\;5{\times}10^5\;molecular\;weight)$ of three mook-forming starches were more than shoes of red bean and wheat starch. Chain distribution ratios$(DP\;35{\sim}55\;to\;DP\;10{\sim}20)$ of cow pea, mung bean and acorn amylopectin were higher than thoes of red bean, sweet potato and wheat amylopectin.

묵의 원료로 사용되는 동부, 녹두, 도토리와 묵의 원료로 사용되지 않는 팥, 밀, 고구마로부터 전분을 분리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분자구조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두류인 동부, 녹두, 팥에서 높았고, 밀, 도토리, 고구마의 순으로 낮았다. 아밀로그램에 의한 호화양상은 동부와 녹두 전분이 유사하였고, 팥 전분의 냉각점도와 고구마 전분의 최고점도가 높았으며, 밀 전분은 전반적으로 점도가 낮았다. 아밀로오스의 분자량 분포는 묵 형성 전분이 팥이나 밀보다 $5{\times}10^5$ 이상 큰 분자량의 것들이 많았으며, 예외로 고구마는 아밀로오스의 분자크기는 크나 아밀로오스 함량이 작아 묵을 형성하기 어려운 것으로 생각된다. 아밀로펙틴의 평균사슬길이는 $23{\sim}27$포도당 단위로 시료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팥이 길었고 동부와 도토리가 짧았다. 아밀로펙틴의 $peak\;II(DP\;35{\sim}55)$에 대한 $peak\;III(DP\;10{\sim}20)$의 비율은 동부, 녹두, 도토리가 팥, 고구마, 밀 아밀로펙틴보다 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