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Interactions of $M_1-,M_2-receptors$ with Nicotinic Receptors in Rabbit Sympathetic Ganglia

가토 교감신경절에서 무스카린성 수용체 아형과 니코틴성 수용체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 Kim, Jong-Keun (Department of Pharmacology,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Rhu, Choon-Sik (Department of Neurosurgery,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ang, Sam-Suk (Department of Neurosurgery,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김종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류춘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강삼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Published : 1992.12.30

Abstract

Effects of a $M_1$ receptor antagonist, pirenzepine, a $M_2$ receptor antagonist, AF-DX116, and a nicotinic receptor antagonist, mecamylamine on the pressor responses to preganglionic sympathetic nerve stimulation (PNS) and McN-A-343 and DMPP in spinal (pithed) rabbit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lucidate a functional role of $M_1$, $M_2$ and nicotinic receptors in ganglionic transmission. Pirenzepine and AF-DX116 selectively inhibited the McN-A-343-induced pressor response in chlorisondamine-treated rabbit and the BCh-induced bradycardia, respectively. Electrical stimulations of preganglionic sympathetic outflow at T8 level produced increases in blood pressure. Pirenzepine $(3\;{\mu}g/kg)$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NS-induced pressor response and the degree of inhibition was not changed by increasing the doses to $100\;{\mu}g/kg$. AF-DX116 $(100\;{\mu}g/kg)$ had no effect on the PNS-induced pressor response. Mecamylamine inhibited the PNS-induced pressor response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inhibitory action of mecamylamine was significantly augmented by combined-treatment with pirenzepine $(30\;{\mu}g/kg)$ but AF-DX116 $(100\;{\mu}g/kg)$ did not affect the inhibitory action of mecamylamine. McN-A-343 and DMPP elicited pressor response in the spinal rabbit. Pirenzepine and AF-DX116 dose-dependently inhibited the McN-A-343-induced pressor response but they did not affect DMPP-induced pressor response. Mecamylamine inhibited both pressor responses induced by McN-A-343 and DMPP.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t only nicotinic receptors but also $M_1$ receptors play a facilitatory role in ganglionic transmission but $M_2$ receptors do not contribute the transmission in spinal (pithed) rabbits.

교감신경절 전달에 무스카린성 수용체 아형과 니코틴성 수용체가 기능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척수가토에서 척수를 통한 교감신경절전섬유의 자극에 의한 승압반응과 신경절 $M_1$수용체 및 니코틴성 수용체 흥분제인 McN-A-343과 DMPP의 승압반응에 대한 $M_1$수용체 길항제인 pirenzepine, $M_2$수용체 길항제인 AF-DX116 및 니코틴성 수용체 길항제인 mecamylamin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M_1$$M_2$수용체의 작용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pirenzepine과 AF-DX116의 용량을 구하기 위해 chlorisondamine-처리가토에서의 $M_1$수용체를 통한 작용인 McN-A-343의 혈압상승작용과 $M_2$수용체를 통한 작용인 bethanechol (BCh)에 의한 심박수감소작용을 50% 억제하는 양$(LD_{50})$을 각각 구한 결과 pirenzepine의 혈압상승작용에 대한 $ID_{50}$$30\;{\mu}g/kg$였으며 AF-DX116의 심박수감소작용에 대한 $ID_{50}$$27\;{\mu}g/kg$였다. 제 8흉추부위에 삽입한 전극을 통한 교감신경절전섬유 전기자극에 의해 혈압상승작용 $(24{\pm}1.8\;mmHg)$을 나타냈으며 이 혈압상승작용은 pirenzepine 3, 10, 30 및 $100\;{\mu}g/kg$에 의해 $20{\sim}25%$정도 용량에 관계없이 비슷한 정도로 억제되었으나 AF-DX116 $100\;{\mu}g/kg$에 의해서는 영향받지 않았다. Mecamylamine은 용량의존적으로 이 승압작용을 억제하였으며 mecamylamine의 이 억제작용은 pirenzepine $30\;{\mu}g/kg$에 의해서는 유의하게 강화되었으나 AF-DX116 $100\;{\mu}g/kg$에 의해서는 영향받지 않았다. 척수이단가토에서 McN-A-343 $(100\;{\mu}g/kg)$ 및 DMPP $(100\;{\mu}g/kg)$는 혈압상승작용을 나타냈으며 pirenzepine과 AF-DX116은 McN-A-343의 승압작용은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나 DMPP의 승압작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mecamylamine은 양약물의 승압작용을 모두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실험성적은 척수가토에서 절전교감신경절 자극에 의한 혈압상승에는 $M_1$수용체의 흥분이 일부 관여하나 $M_2$수용체의 흥분은 관여하지 않으며 교감신경절전달에서 $M_1$수용체의 흥분이 니코틴성 전달을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하나 $M_2$수용체는 작용하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