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Lodging in Rice

식물(植物) 생장(生長) 조절제(調節劑)가 벼 도복(倒伏)에 미치는 영향(影響)

  • Published : 1987.06.30

Abstract

The experimental growth regulators Hoe78784 and PP-333 significantly reduced lodging in all rices. However, the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rop vegetative characteristics and yield components, except by decreasing plant height when both growth regulators were applied at booting stage. Grain yield of IR21820-154-3-2-2-3 increased due to reduced lodging when Hoe78784 and PP-333 were applied at booting. These growth regulators increased the thickness and diameter of the culm. Applying CCC did not affect lodging in all test varieties. CCC-treated varieties and the control showed lower number of vascular bundles and culm thickness and diameter of the third and fourth internodes. Hoe78784 and PP-333 significantly reduced internode length from the second to the third internode in short-statured varieties. In tall varieties. reduction extended up to the fourth internode. Culm N content of the varieti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treatments, except in IR8. Culm P content also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reatments. although K and Si content was the highest than control when Hoe78784 was applied.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인 Hoe78784와 PP-333의 처리(處理)는 공시(公試)된 모든 품종(品種)에 있어서 도복(倒伏)이 현저하게 감소(減少)하는 현상을 보였으나, 수잉기(穗孕期)때 이들 처리(處理)는 초장(草長)의 감소(減少)를 제외하고는 영양생장기관(營養生長器官)과 수량구성요소(數量構成要素)에는 크게 영향(影響)을 미치지는 않았다. Hoe78784와 PP-333의 처리(處理)는 도복(倒伏)의 감소로 인(因)한 IR21820-154-3-2-2-3의 수량(數量) 증대(增大)를 가져왔으며, 이와같은 도복(倒伏)의 감소(減少)는 형태적(形態的)인 특징(特徵) 면(面)에서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처리(處理)로써 관(管)의 두께와 직경(直徑)과 유관속(有管束) 수(敎)를 증가(增加)시켰다. Cycocel(CCC)의 처리(處理)는 Hoe78784와 PP-333을 처리(處理)한 것 보다 유관속(有管束)의 수(數), 관(管)의 두께, 3, 4 번째 마디의 직경(直徑)이 낮게 나타났으며, 모든 처리구(處理區)에서 도복(倒伏)의 감소(減少) 영향(影響)이 전혀 나타나지는 않았다. 단간종(短稈種)(IR36)에서의 Hoe78784와 PP-333의 처리(處理)는 2, 3번째 절간(節幹)의 신장(伸長)이 현저하게 감소(減少)되었으며, 장간종(長稈種)에서는 4번째 절간(節稈)까지 검색(檢索)되었고 도복(倒伏)에 가장 크게 영향(影響)을 미치는 절간(節稈)은 세번째 및 네벤째 절간(節稈)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처리구(處理區)에 있어서 식물체내(植物體內)의 영양관계(營養關係)는 질소함량(窒素含量)에 있어서 무처리구(無處理區)와 큰 차이(差異)는 없었으나 IR8에 있어서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은 높게 나타났으며 인산(燐酸)의 함량(含量)은 모든 품종(品種)에 있어서 뚜렷한 변화(變化)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또한, 칼륨의 함량(含量)도 처리구(處理區)와 무처리구(無處理區)간에 뚜렷한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지만, Hoe78784를 처리(處理)하였을 때에는 칼륨과 규산(硅酸)의 함량(含量)이 무처리구(無處理區) 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