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S OF THE SURGICAL CORRECTION OF FACIAL ASYMMERY

비대칭 안모의 외과적 치험례

  • Huh, Hong Yell (Dept.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apital Armed Forces General Hospital) ;
  • Min, Sung Ki (Dept.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apital Armed Forces General Hospital) ;
  • Cho, Sang Ki (Dept.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apital Armed Forces General Hospital) ;
  • Jeong, In Won (Dept.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apital Armed Forces General Hospital)
  • 허홍열 (국군수도병원.구강악안면외과) ;
  • 민승기 (국군수도병원.구강악안면외과) ;
  • 조상기 (국군수도병원.구강악안면외과) ;
  • 정인원 (국군수도병원.구강악안면외과)
  • Published : 1991.09.30

Abstract

This is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of the facial asymmetry corrected by various surgical methods. In case 1, facial asymmetry resulted from osteochondroma of condyle and corrected via condylectomy only. In case 2, unilateral condylar hyperplasia with compensatory maxillary growth resulted in severe facial asymmetry. Procedures used in case 2 are vertical ramus osteotomy, condylectomy, genioplasty, mandibular inferior border ostectomy and Le Fort I osteotomy.

안모비대칭은 심미적 정서적으로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안모비대칭은 안면골 중에서 특히 하악골과 관련된 경우가 많은데 이는 하악골이 안면하부의 연조직을 지지하므로 작은 위치, 형태 변화에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비대칭안모를 초래하는 하악과두의 거대증은 Hyperplasia, Hypertrophy, 골증, 외골증, 골연골증, 연골육종 등을 들 수 있다. 비대칭안모 분류는 여러 학자에 의해 다양하게 분류되지만 Bruce와 Hayward는 Deviation prognathism, Unilateral macroganthia, Unilateral condylar hyperpiasia로 분류한 바 있다. 과증식된 하악과두의 절제술은 1856년 Humphry에 의해 최초로 시행된 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성공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Unilateral condylar hyperlpasia와 골연골종으로 인한 안모비대칭 환자로써 Condylectomy, Le Fort I osteotomy, Vertical ramus osteotomy, Mandibular inferior border ostectomy, Genioplasty 등을 시행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