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Overview of Readjustment Measures Against the Banking Industry's Non-Performing Loans

은행부실채권(銀行不實債權) 정리방안(整理方案)에 대한 고찰(考察)

  • Published : 1991.03.30

Abstract

Currently, Korea's banking industry holds a sizable amount of non-performing loans which stem from the government-led bailout of many troubled firms in the 1980s. Although this burden was somewhat relieved with the aid of banks' recapitalization in the booming securities market between 1986-88, the insolvent credits still resulted in low profitability in the banking sector and have been detrimental to the progress of financial liber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his paper surveys the corporate bailout experiences of major advanced countries and Korea in the past and derives a rationale for readjustment measures against non-performing loans, in which rescue plans depend on the nature of the financial system. Considering the features of Korea's financial system and the banking sector's recent performance, it discusses possible means of liquidation in keeping with the rationale. The conflict of interests among parties involved in non-performing loans is widely known as one of the major constraints in writing off the loans. Specifically, in the case of Korea, the government's excessive intervention in allocating credits has preempted the legitimate role of the banking sector, which now only passively manages its past loans, and has implicitly confused private with public risk. This paper argues that to minimize the incidence of insolvent loan readjustment, the government's role should be reduced and that the correspondent banks should be more active in the liquidation process, through the market mechanism, reflecting their access to detailed information on the troubled firms. One solution is that banks, after classifying the insolvent loans by the lateness or possibility of repayment, would swap the relatively sound loans for preferred stock and gradually write off the bad ones by expanding the banks' retained earnings and revaluing the banks' assets. Specifically, the debt-equity swap can benefit both creditors and debtors in the sense that it raises the liquidity and profitability of bank assets and strengthens the debtor's financial structure by easing the debt service burden. Such a creditor-led or market-led solution improves the financial strength and autonomy of the banking sector, thereby fostering more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and risk sharing.

현재 우리나라의 은행산업(銀行産業)은 상당규모의 부실채권(不實債權)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1980년 들어 구조적 불황(不況) 쇠퇴업종(衰退業種)의 부실기업체(不實企業體)들을 정부주도하(政府主導下)에 정리하는 과정에서 은행(銀行)이 이들 부채를 떠맡게 된 데에 주로 연유한다. 국내(國內) 비은행금융기관(非銀行金融機關)이나 국제금융기관(國際金融機關)에 비해 경쟁력이 취약한 국내은행(國內銀行)의 부실채권보유(不實債權保有)는 금후의 금융자유화(金融自由化)는 물론 금융국제화(金融國際化)를 추진하는 데 애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고(本稿)에서는 먼저 주요 선진국(先進國)들의 대표적인 부실기업정리(不實企業整理)의 경험을 조사하여 각국의 상이한 금융시스템과 부실기업(不實企業) 정리(整理)패턴간의 연계성을 살펴보고, 과거 우리나라의 부실기업(不實企業) 정리사례(整理事例) 및 성과분석(成果分析)을 통하여 부실채권정리(不實債權整理)의 기본적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에 이어 최근 은행산업(銀行産業)의 부실채권(不實債權) 보유현황(保有現況) 및 경영실태(經營實態)에 대한 분석(分析)을 토대로 구체적인 정리방법과 그 실효성(實效性)에 관해 이론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부실채권정리(不實債權整理)를 제약하는 가장 큰 요인은 손실배분시(損失配分時) 첨예하게 대립되는 관련당사자간의 이해상충문제(利害相衝問題)이다. 경제적(經濟的) 손실(損失)을 최소화하는 부실채권정리의 기본방향(基本方向)은 사후적(事後的) 여신관리(與信管理)에 있어서 은행(銀行)의 수동적 자세를 유발시켜 온 정부(政府)의 직접적인 개입(介入)을 지양하고 부실채권의 내용을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관련채권은행(關聯債權銀行)이 주체가 되어 가급적 은행책임하(銀行責任下)에 부실채권(不實債權)을 정리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본고(本稿)에서는 부실채권(不實債權)을 연체기간(延滯期間) 및 상환가능성(償還可能性) 등으로 구분하여 상대적으로 양질(良質)의 부실채권은 채무기업(債務企業)의 우선주(優先株)로 전환하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 매몰비용과 다름없는 불량한 부실채권(不實債權)에 대해서는 내부유보(內部留保)의 확충, 은행자산(銀行資産)의 재평가(再評價) 등을 통해 단계적으로 대손상각처리(貸損傷却處理)하는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특히 부채(負債)-주식(株式) 전환방법은 은행자산(銀行資産)의 유동성(流動性) 및 수익성(收益性)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채무기업(債務企業)도 당장의 채무상환압박(債務償還壓迫)의 해소로 재무구조(財務構造)의 강화를 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政策的) 차원(次元)에서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