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실질환율(實質換率)의 결정요인(決定要因)

Real and Monetary Determinants of Korea's Real Exchange Rate

  • 발행 : 1991.06.30

초록

본고(本稿)에서는, 우리나라 대미명목환율(對美名目換率)의 변화를 복수통화(複數通貨)바스켓제도(制度)의 운용과 관련지어 설명하거나 특정한 이론적(理論的) 접근법(接近法)으로 설명하려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우리나라 실질환율(實質換率)의 실물적 및 화폐적 결정요인을 이부문모형(二部門模型)에 따라 설명하고 실질환율(實質換率)의 동태적(動態的) 변화(變化)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推定結果)에 따르면 1980년대에는 통화증발(通貨增發)이나 재정지출(財政支出)의 증가(增加)가 모두 실질환율(實質換率)을 절상(切上)시키는 것으로 나타나서 실질환율(實質換率)의 절하(切下)를 위해서는 금융(金融) 재정(財政)의 안정(安定)이 필수적임을 보여 주고 있다. 또 교역조건(交易條件)의 개선(改善)은 실질환율(實質換率)을 절하(切下)시킨 것을 나타나 교역조건(交易條件)의 개선(改善)이 실질환율(實質換率)을 절상(切上)시킨다는 다른 나라에 대한 연구결과와 배치되고 있다. 한편 생산성향상(生産性向上)으로 실질환율(實質換率)이 절상(切上)되는 Ricardo-Balassa효과(效果)가 나타나고 있으나 그 유의성(有意性)은 크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명목환율(名目換率)의 절하(切下)는 상당한 정도로 실질환율(實質換率)의 절하(切下)를 유발하고 있어서 실질목표접근법(實質目標接近法)에 의한 환율운용(換率運用)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있다.

This paper introduces a two-sector model to analyze the real and monetary determinants of Korea's real exchange rate. So far, most studies on Korea's exchange rate have concentrated on the behavior of nominal exchange rate, but this study proposes a dynamic model of real exchange rate behavior in developing countries and estimates the real and financial determinants of Korea's real exchange rate behavior. The estimation was performed over the period of 1980-89. The results show many interesting things. First, the monetary and fiscal expansion led to a real appreciation, which suggests that the monetary and fiscal stances be kept sound for a real depreciation. Second, the improvement in the terms of trade led to a real depreciation. This experience is in the contrast to the popular view that the improvement in the terms of trade will result in a real appreciation. Third, the productivity growth led to a real appreciation, but this effect of the Ricardo-Balassa type was not significant. Finally, the nominal devaluation was quite effective to produce a real depreciation. This result also supports Korea's exchange rate policy in the 1980s which was based upon the real target approach instead of nominal anchor approac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