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버덴춰와 골융합성 임프란트

OVERDENTURES AND OSSEOINTEGRATED IMPANTS

  • 신상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 교실(고대 임프란트 연구소)) ;
  • 서규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 교실(고대 임프란트 연구소))
  • Shin Sang-Wan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Korea University Implant Research Center)) ;
  • Suh Kyu-Won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Korea University Implant Research Center))
  • 발행 : 1991.12.01

초록

저작압을 골에 직접 분산시키고 의치를 직접 골에 부착시켜 의치의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가능성을 실현하는 것이 오랫동안 보철과의사들의 목표였다. 수십년 동안 골과 티타늄 임프란트가 결합(적합)되는 골융합성 술식이 발전되어 왔으며 이 임프란트의 상부구조물로 고정식 보철물이 받아들여져 왔다. 현재까지 가장 흔한 상부구조는 고정식 보철물이다. 요즈음 골융합성 임프란트에 지지를 받는 오버 덴춰의 술식이 고정식 보철물과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 간주되어질 수 있게 되었다. 오버덴춰 술식이 심미적 경제적 이유 그리고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골융합성 임프란트에 의한 고정식 보철물에 대한 광범위한 장기 결과들이 있는데 반하여 여러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오버덴춰 술식은 임상결과나 적용에 과한 지식들이 거의 발표되지 않았으며, 현재까지 임프란트 오버덴춰를 가진 환자의 구강기능에 대한 단지 몇개의 연구들만이 발표되었다. 우리는 장기 임상평가에 의해서 임프란트 오버덴춰를 아주 조심스럽게 평가해야 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