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ng term noise exposure of steel mill workers, hearing loss and blood pressure

제강소 장기근무자의 소음 노출 및 청력손실과 혈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Ha, Myung-Wha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Doo-Hi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하명화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두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1.12.01

Abstract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ng term noise exposure on blood pressure among steel mill workers. The workers participated in periodic medical examinations performed from August 27 to September 6 in 1990. Examined were 1,034 workers with high-level noise exposure(average $91.8{\pm}5.2dB(A)$) and 390 workers with low-level noise exposure(average $75.2{\pm}4.6dB(A)$).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ystolic or diastolic flood pressure between the two exposure groups. Prevalence of hypertension (${\geq}160mmHg\;systolic\;or{\geq}100mmHg\;diastolic$) was higher in a younger age group (${\leq}40$ years old) of high-level noise exposure than of low-level noise exposure.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more, in younger ages, prevalence of hypertension appeared to be higher in the hearing loss group (${\geq}25dB\;at\;1000Hz\;or{\geq}40dB$ at 4000Hz in at least one ear) than in the normal hearing group.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earing loss, body mass index, age, alcohol and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were proven to be predictors of diastolic blood Pressure (p<0.02). When regression was performed for each age group, hearing loss was a strong predictor of diastolic pressure in the younger age group (p<0.01).

모 철강공장에서 1990년 8월 27일부터 9월 6일까지 실시되었던 정기 특수건강진단에 참여한 근로자 중 평균 소음노출이 $91.8{\pm}5.2dB(A)$인 고소음부서 기능직 근로자 1,034명과 $75.2{\pm}4.6dB(A)$인 저소음부서 기능직 근로자 390명 사이에 고혈압(수축기 16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100mmHg 이상) 유병률을 비교하고, 청력손실(1,000Hz에서 25dB 이상 또는 4,000Hz에서 40dBA이상) 여부와 고혈압 유병률과의 관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고소음부서와 저소음부서 사이에 평균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고소음부서와 저소음부서 사이의 고혈압 유병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39세 이내의 연령군에서는 고소음부서에서 더 높았으며, $40{\sim}49$세 사이의 연령군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50세 이상의 연령군에서는 오히려 저소음부서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고혈압 유병률은 고연령군에서 보다 저연령군의 청력손실군에서 정상 청력군에 비해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으나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청력손실, 비만도지수, 연령, 음주습관 및 고혈압 가족력이 이완기 혈압의 예견지표였다(p<0.02). 청력손실은 특히 40세 이전의 연령군에서 주요 이완기혈압 예견지표로 나타났다(p<0.01).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