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ea Water and Ocean Current in the Sea Adjacent to Korea Peninsula -The Vertical Structure of Temperatures in the East Sea of Korea-

한반도 근해의 해류 및 해수특성 -한국 동해의 수온의 수직구조-

  • NA Jung-Yul (Department of Earth and Marine Sciences, Hanyang University) ;
  • LEE Seong-Wook (Department of Earth and Marine Sciences, Hanyang University) ;
  • CHO Kyu-Dae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나정열 (한양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
  • 이성욱 (한양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
  • 조규대 (부산수산대학교 해양학과)
  • Published : 1991.07.01

Abstract

In the East Sea of Korea the vertical structure functions of the temperature field were evaluated and the characteristic thermal zone was classified by the use of the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EOF) method. The East Sea of Korea within the hydrographic lines of 10-107 of the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of Korea(FRDA) can be divided into three thermal regions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tical temperature variability. They are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NKCC) region near the coast which extends parallel to the north-south direction, the Warm-Core(WC) region which dominates almost all the hydrographic stations of the Line 104 of the FRDA and occupies a few stations of the Line-103 and -105 with its axis at the Line 104, and the East Korea Warm Current(EKWC) region which is bisected into the northern and the southern part by the WC region,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two most important modes, $85.20-98.20\%$ of the total variance of temperature variation are explained in the NKCC region, $85.20-92.90\%$ in the EKWC region, and$85.50-91.70\%$ in the WC region. The first mode has its peak value at the surface with the annual cycle of variation. The spatial pattern of the first mode portrays a coherent vertical variation in the EKWC region and a clear anti-correlation both in the NKCC region and in the WC region where the zero-crossing depths are loom and 200m, respectively. The second mode of the NKCC region is particularly noticeable, haying its peak at loom with coherent vertical variation. To study the time dependency of the vertical structure functions, the extended EOF(EEOF) method was used. The persistence of the first mode is less than 4 months in the study area. The annual variation of the first mode in the NKCC region is different from those in the WC region and in the EKWC region.

본 연구는 경험적 직교함수 방법을 적용하여 동해 중서부 해역에서 수직적인 수온 분포의 공간적 특성을 해역별로 구분한 후 특징적인 수온의 수직구조 함수를 제시하였다. 수산진흥원 관측범위 중에서 102-107 정선을 포함하는 동해 중서부 해역은 연안을 따라 남북방향으로 발달하는 북한한류수역, 외해쪽의 동한난류수역과 104정선을 축으로 동서방향으로 발달하는 난수괴역으로 구분되며 동한난류수역은 난수괴역에 의해 남북으로 양분된다. 제2모드함수까지 이용하여 설명되는 수온의 변동성은 북한한류수역에서는 총 분산의$85.20-98.20\%$. 동한난류수역에서는 $85.20-92.90\%$, 난수괴역에서는 $83.50-91.70\%$이다. 가장 많은 분산을 설명하는 수직구조함수의 제1모드는 약 1년의 변동주기를 가지며 해표면에서 극값을 가지는 함수이다 동한난류수역에서는 수온의 변동이 전층에서 동시에 일어나며 북한한류수역과 난수괴역에서는 약 100m 수심과 200m 수심을 경계로 하여 수온의 변동이 반대로 일어난다. 제2모드는 북한한류수역에서는 100m 층에서 극값을 가지며 전 층에서 수온의 변동이 동시에 일어난다. 난수괴역과 동한난류수역에서는 수온의 변화가 반대로 전개되는 교차점을 가진다. 확장된 경험적 직교함수를 적용하여 수직구조함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고찰한 결과 동해에서 제1모드의 지속성은 4개월 미만이며 북한한류 수역에서의 수직구조함수의 연변화 과정은 동한난류수역과 난수괴역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