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산염 처리가 Whitefish와 Burbot의 Texture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potassium Phosphates on the Texture of Frozen Whitefish ana Burbot Muscles

  • 전순실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무남 (부산여자대학 식품영양학과) ;
  • 이강호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CHUN Soon-Sil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
  • KIM Mu-Nam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Pusan Women's University) ;
  • LEE Ka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발행 : 1991.11.01

초록

Whitefish와 Burbot는 북미지역, 유럽 등지에서 비교적 널리 이용되고 있는 담수어종이지만 Whitefish는 조직이 연하여 가공중 부스러지기 쉽다는 점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와는 대조적으로 Burbot육은 끈적한 점액이 어피를 둘러싸고 있어 이용이 제한되고 있는 외에 가공저장중에 조직이 tough해지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이들의 조직상의 제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두 of종의 가공성을 높이고 나아가 상품적 가치를 제고할 목적으로 이들의 texture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각종 인자들을 살펴보았다. 두 어종의 어육을 fillet로 하여 대조군과 인산염 완충용액을 high pressure injection법으로 처리한 군의 pH, 수분 함량, Total collagen량의 차이를 검토하였고 아울러 $-12^{\circ}C$에서 3개월 간 저장한 후의 이들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이들 제 인자들이 Instron texturometer로써 측정한 texture와 어떻게 관련되어 지는지를 다중 회귀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H는 인산염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았다. 3개월 저장으로 두 어종 모두 pH와 수분함량이 감소하였다. Instron texturometer으로 측정한 texture의 값과 이들 제 인자들 사이의 상관관계는 조직이 약한 whitefish에서는 상관계수가 낮아 특정인자가 두드러진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는 어려웠으나 조직이 단단한 burbot육은 이들 인자 중 pH가 비교적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Whitefish(Coregonus clupeaformis) and Burbot(Lota iota) muscle was filleted, treated with dipotassium phosphate(pH 8.0) by means of high pressure injection method, and finally stored at $-l2^{\circ}C$ for 3 months. Factors, the pH, moisture content, and total amount of collagen were analyzed on the samples before and after the frozen storage. The pH of the sample showed substantially higher values in the phosphate treated muscles than the controls and decreased after 3 months storage in all of the whitefish and burbot samp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isture content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ed but some reduction occurred during frozen storage. The amount of total collagen in the tail sections of burbot was significantly high comparing with head sections and hardness of the tail section also showed high values which indicated that total collagen might be related to the texture of fish muscle. However, in the case of whitefish the effect was not apparent.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the hardness determined by Instron texturometer were analyzed through standardized multiple regression. A specific factor was not apparent to the texture of white fish while pH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to the hardness of the burbot muscl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