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단층에 대한 자력탐사 연구

Magnetic Investigation of the Yangsan Fault

  • Kwon, Byung-Doo (Department of Earth Sciences,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Ki-Won (Department of Earth Sciences,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1991.11.21
  • 발행 : 1991.08.31

초록

경상분지내에서 가장 뚜렷한 선구조로 나타나는 양산 단층이 지나는 곳으로 생각되는 네 지역을 선정하여 육상자력탐사를 실시하였다. 정성적 분석을 위한 자료처리과정으로는 표준자기장 (IGRF) 보정, 상향 연속과 자극화 변환을 수행하였고, 정량적 해석을 위해서는 수평 2층 지하 지질구조에 있어서 하부층까지의 심도를 모델변수로 하는 비선형 자동 역산법을 적용하였다. 육상자력 이상도의 상향 연속 결과와 동일 지역에서 수행된 항공 자력 탐사자료를 비교한 바에 의하면 두 자료의 유사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네 곳의 탐사지역내에서 양산 단층의 주향은 북동$6^{\circ}-15^{\circ}$의 경향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단층의 경사는 지역적인 암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수직내지 약간 동쪽 방향의 경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탐사 지역중 가장 북쪽에 위치하는 안강부근의 제 1 탐사지역에서는 단층구조에 의한 자력효과가 화성암의 관입에 의한 효과와 함께 나타난 복잡한 양상을 띠며, 언양부근의 제 2 탐사 지역에서는 단층면을 따라 약 200 - 300 미터의 폭을 갖는 화산성, 혹은 화성 기원의 관입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용연 부근의 제 3 지역에서는 다른 지역과는 달리 단층운동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는 파쇄대가 약 600 - 700 미터 정도의 폭으로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났다. 가장 남쪽에 위치하는 양산부근의 제 4 지역에서는 안산암 시료가 매우 큰 대자율 값을 보이며, 본 연구 결과 이 지역의 단층선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단층선보다 약 500 미터 정도 동쪽으로 치우쳐 나타난다.

Ground magnetic surveys were conducted at four areas where the Yangsan fault, the most prominent lineament in the Kyeongsang basin, appears to be passed through. For data processing, IGRF correction, upward continuation and reduction-to-the-pole were performed. The automatic inversion by using a matrix computation method, which takes the depth to bottom layer of the horizontal two layer structure as the model parameter, has been attempted to delineate the subsurface structure. Upward continuation of the surface magnetic map to the same level of the aeromagnetic survey (KIER, 1989) resulted in very similiar patterns to those of aeromagnetic data. Subsurface modeling of eight profile data show that the strike and dip of the Yangsan fault in study areas are $N6^{\circ}-15^{\circ}E$, and near vertical to somewhat eastward, repectively, despite of the local lithological contrast of each study area. It seems that the magnetic effect of faulting in the study area 1, which locates in the most northern part of the survey areas, is disturbed by that of igneous intrusion. At study area 2, the possibility of volcanic or igneous intrusion, which is 200-300 meters wide along the fault plane was presented. At study area 3, unlike other study areas, distinct fracture zone of 500-700 meters in width was revealed along the surface fault line. The andesitic rocks of the study area 4 have very high susceptibilities and the fault line on surface of this area was shifted about 500 meter eastward, as compared with the inferred fault line by the previous study.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번호 : A geomagnetic study of the Yangsan fault area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