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pathological Study of Gastric Adenoma

위선종에 관한 병리조직학적 연구

  • Kim, Dong-Sug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Nam, Hae-Joo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oi, Won-Hee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Tae-Sook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ung, Moon-Kw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김동석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남혜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최원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이태숙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정문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1.12.30

Abstract

A total of 53 gastric adenomas from endoscopically biopsied gastric mucosa were examined histopathologically.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endoscopic biopsy was 59 years, and gastric adenomas were found to be more frequent in the aged, particularly above the age of 50. The majority of adenomas occurred at the antrum. Concerning the shape of the adenomas, Yamada type II was more frequent(55%). All adenomas were accompanied by varying degree of intestinal metaplasia, and this findings suggest that gastric adenoma develops from intestinal metaplasia. In adenomas with severe atypia(grade III), endocrine cells(argyrophil and argentaffin cells)were markedly decreased or absent. Gastric adenocarcinomas coexistent with adenoma were seen in 5(9.4%) out of 53 cases, and were more frequent in male than female patients(sex ratio, 4 : 1) and the average age was 61.4 years.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cessity of thorough follow-up study for definitive correlation between gastric adenoma and adenocarcinoma.

저자들은 최근 7년 10개월 동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에서 위선종으로 진단된 위내시경 생검조직 48예, 53병변을 병리조직학적으로 재검토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환자의 평균 연령은 59세였으며, 51세이상이 40예(83%), 61세이상이 27예(56%)였고, 남녀비는 2.3 : 1로서 고연령층과 남자에게서 호발하였다. 2) 위선종의 발생부위는 전정부 33예(62%), 체부 19예(36%) 그리고 분문부 1예로서 전정부에 호발하였다. 3) 육안적인 형태는 Yamada type II가 29예(55%)로 가장 많았으며, 크기는 장경이 1cm미만이 41예(8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4) 세포이형도와 위선종의 크기와의 관계는 알 수 없었다. 이는 내시경 생검조직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절제된 위조직을 포함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5) 53병변 모두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장형화생을 동반하고 있어, 위선종이 장형화생을 거쳐 발생된다고 사료되었다. 6) Grade III의 세포이형도를 보이는 6예 전부에서 Grimelius 및 Fontana-Masson 염색에 음성반응을 보였다. 7) 핵분열상은 세포이형도에 관계없이 비교적 흔히 관찰되었다. 8) 위선암종을 동반하고 있는 예는 5예(9.4%)로서, 평균연령은 61.4세였으며, 남녀비는 4 : 1로서 60세이상의 남자환자에서 위선종이 발견될 경우, 위선암종을 동반할 가능성이 많아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리라 사료되었다. 9) 위선종과 위선암종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위선종의 철저한 추적조사로서 보완 되어야 하리라 사료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