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Study of Acute Carbon Monoxide Intoxication

급성 일산화탄소 중독증 환자의 임상적 고찰

  • Choi, Kyong-Chan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Mee-Yeung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Hah, Jung-Sang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Byun, Yeung-Ju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Choong-Suh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최경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박미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하정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변영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박충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Published : 1991.06.30

Abstract

To obtain the basic data of prognosis of acute carbon monoxide(CO) intoxication, one hundred and sixteen cases of CO intoxication defined by carboxyhemoglobin(COHb) and admitted via emergency room of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Oct. '85 to April' 89 have been clinically analyzed and evaluated, including delayed postanoxic encephalopathy(DPE)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1.5 and mental state was drowsy mostly(26.2% of 116 cases) 2. The more disturbed the mental state, the more decreased was the arterial pH and $PaCO_2$, which may be the result of metabolic acidosis. 3. The early laboratory findings in patients of CO intoxication were as follows : leukocytosis-65.5%, increase of hematocrit-23.3%, hyperglycemia-19.8%, increase of GPT-19.8% increase of creatinine-0.9%, and glucosuria-12.1%. 4. The early findings of EKG were abnormal in 35.3% : change of rhythm-25.0%, abnormal ST segment-15.5% (change of rhythm and abonormal ST segment-5.2%) but the conduction disorder was not present. 5. The abnormal EEG above mild degree was 93.1%, of which moderate was most frequent(80.2%). 6. The incidence of DPE was 7.8% among all admitted CO patients. DPE cases had long duration of exposure time(8 hours), severe leukocytosis(20,000) and an abnormal EEG(MA).

급성 일산화탄소중독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1985년 10월부터 1989년 4월까지 급성 일산화탄소중독으로 영남대학병원 응급실을 통해 COHb검사로 확진되어 입원치료한 1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입상소견 및 검사 소견을 비교, 분석하고 이들 소견과 지연성 후유증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입원환자 116례의 내원시 의식상태는 기면상태의 군이 36.2%로 가장 많았으며, 남녀의 비는 1:1.5로 여자가 많았다. 2. 내원시 의식장애가 심할수록 동맥혈의 pH 및 $PaCO_2$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대사성산증에 의한 소견으로 보인다. 3. 일산화탄소중독으로 인한 초기 검사소견중 백혈구증다증은 65.5%. 헤마토크리트의 상승은 23.3%, 고혈당은 19.8%, GPT의 상승은 19.8%, creatinine의 상승은 0.9%, 뇨당검출은 12.1%였다. 4. 심전도 검사에서는 35.5%에서 이상소견을 보였는데 25.0%가 rhythm의 변화를, 15.5%가 ST, T절의 이상을 보였고, 이중 5.2%는 rhythm의 변화와 ST, T절의 이 상과 함께 나타났으나 전도장애의 이상은 없었다. 5. 뇌파검사에서는 경도이상의 이상소견을 보인 환자가 93.1%였으며, 이중 중등도의 이상소견을 보인 환자가 80.2%로 가장 많았다. 6. 입원환자중 지연성 후유증의 발생빈도는 7.8%였으며, 이들은 노출시간이 길고(>8시간), 백혈구증다증(>20,000) 및 뇌파이상(>중등도)이 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