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hylactic Intravenous Ephedrine Infusion during Spinal Anesthesia for Cesarean Section

제왕절개술을 위한 척추 마취시 Ephedrine의 예방적 정맥적주에 관한 연구

  • Koo, Bon-Up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구본업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Published : 1991.06.30

Abstract

Ephedrine sulfate was administrated 30 healthy parturients undergoing elective repeat cesarean section under spinal anesthesia. Fifteen patients received ephedrine infusion (0.01% solution, beginning with approximately 5 mg/min) immediately after induction of spinal anesthesia to maintain maternal systolic blood pressure between 90% and 100% of the baseline systolic blood pressure (mean dose of ephedrine 31.6mg). Fifteen patients (contral group) received 20mg of ephedrine as an intravenous bolus, and additional 10mg increments, if neccessary, when systolic blood pressure decreased to 80% of the baseline systolic blood pressure (mean dose of ephedrine 26.8 mg). Nausea and/or vomiting occurred in seven women in the control group and one patient in the infusion group (p<0.001). Apgar scores, fetal blood gas tension, and time for onset of respiration was comparable in the two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prophylactic ephedrine infusion is safe and desirable in healthy parturients undergoing cesarean section under spinal anesthesia.

척추 마취로 제왕절개술을 받은 건강한 30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ephedrine sulfate의 정맥적 주군(15명)과 정맥내 주사군(15명)의 산모혈압과 심박, 오심, 구토, Apgar scores, 산모와 태아의 혈압가스압 등을 비교 관찰하였든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척추마취후 적주군의 수축기 산모혈압은 의의있는 변화가 없었으나(p>0.1), 정주군에는 5, 7분 후 술전치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하강하였으며(p<0.005), 적주군과의 비교에서도 의의있는 변화를 나타내었다(p<0.001). 2) 적주군에서 정주근보다 오심, 구토의 발생 빈도가 낮았다(p<0.001). 3) 산모의 심박, Apgar scores, 산모와 태아의 혈액 가스압에는 양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과 같이 제왕절개술을 위한 척추 마취시 ephedrine의 예방적 정맥내 적주가 안전하고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