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PPRAISAL OF SOFT TISSUE PREDICTION IN ORTHOGNATHIC SURGERY FOR MANDIBULAR PROGNATHISM

외과적 악교절수술에 있어서 측모연조직예측의 재평가에 대한 연구

  • Chung, Moo-Hyeok (Dep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Nam, Il-Woo (Dep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정무혁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악안면외과학교실) ;
  • 남일우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악안면외과학교실)
  • Published : 1991.03.31

Abstract

Cephalometric prediction tracing is the preoperative double checking procedure which can predict bony and soft tissue change. Soft tissue profile prediction is routin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known ratios of the soft to hard tissue movement which can vary considerably in each individual. Besides interindividual variation of the ratios of the soft to hard tissue change, actual results of the postoperative soft tissue profile can reflect other important modifying factors if it is compared with prediction tracing u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oft tissue prediction tracing used with postoperative tracing and to find intervening modifying factor via serial tracing. Review of 30 prediction tracing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contributing to prodiction tracing inaccuracy was the skeletal and dental relapse. And, some factors which may be responsible for prediction tracing inaccuracy were discussed.

두부방사선사진을 이용한 안모의 측모예측은 악교정수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수술전 치료계획의 한부분으로 술후 경조직과 연조직의 변화를 예상하며 술자와 환자간에 술후 결과를 의논하는 대화의 재료로서도 그 중요성이 크다. 그러나, 술후 환자의 최종적인 측모와 수술 직전에 수술 계획에 따라 시행한 술후 측모의 예측과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수술 전 시행하는 측모 예측의 부정확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경조직 대 연조직 변화비율 등을 추정하는 많은 연구가 시행되어 왔으나 측모방사선 예측의 부정확도를 조사하고 이러한 부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함이 측모방사선예측의 부정확성을 이해하고 감소시키는 데에 있어서 그 중요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이미 시행되어 수술에 사용된 술후 측모예측기록을 수술직후 두부방사선 사진 및 술후 최소 6개월 추적 방사선 사진에 중첩하여 측모 예측의 부정확도를 조사한 바 총 30명의 환자에서 20명(66.6%)이 부정확도를 보였고 악골 및 치열의 술후 위치 불안정성도 측모 예측 정확군과 부정확군에 모두 19명(63.3%)에서 발생하여 측모 예측의 부정확도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