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Organic Fertilizer based on the Cow Dung III. Studies on Tentative Guideline for Degree of Maturity

우분(牛糞)의 유기질비료화(有機質肥料化) 연구 III. 부숙도(腐熟度) 기준설정(基準設定)

  • Published : 1991.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nufacture a good qualified organic fertilizer with cow dung through rapid composting process, and the proposal guideline of the degree of maturity could be estimated with the measurement of final product. It included total nitrogen content of above 2% on an oven-dry material basis, C/N ratio of below 20, CEC of more than about 60 me/100g, ratio of carbon in reducing sugar to the total carbon of below 35%, and temperature in pile of above $60^{\circ}C$. The total nitrogen content, the C/N ratio, and the Paper Chromatographic method couldn't be the guideline to evalute the maturity of cow dung compost. CEC was increased in increased fermentation and it was high in the high fermented temperature plots which were cow dung+ shredded bark in 1988, cow+dung+wood chips in 1989, and cow dung+rice straws in 1990. The ratio of carbon in reducing sugar to total carbon in 1990 was lower in cow dung+saw dust than cow dung+rice straws that was the highest temperature in pile. Generally cow dung was mixed well with saw dust and thus the total carbon of the product was high. The measurement of the temperature in pile seems to be a indirect guideline of maturity.

우분(牛糞)을 속성(速成)으로 부숙(腐熟)시켜 양질(良質)의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로 제조(製造)해서 그 제품(製品)의 부숙(腐熟)이 량호(良好)하게 되었는가 여부(與否)를 판단(判斷)할 수 있는 기준(基準)인 부숙도(腐熟度) 잠정(暫定) 기준치(基準値) 설정시험(設定試驗)에서 여지(濾紙) Chromatography법(法), CEC 법(法) 및 환원당율(還元糖率)을 중점(重點)으로 연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가. 퇴적내(堆積內) 부숙온도(腐熟溫度) 측정(測定)은 부숙도(腐熟度)의 간접적(間接的)인 기준(基準)으로 가장 적합(適合)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나. 건물중(乾物重)의 2% T-N함량(含量)과 20이하(以下)의 C/N율(率)을 부숙도(腐熟度)의 잠정기준치(暫定基準値)로 설정(設定)하는 것은 인난(因難)할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다. 여지(濾紙) Chromatography법(法)는 주재료(主材料)가 우분(牛糞)이고 충전제(充塡劑)가 나무껍질, 나무조각, 톱밥인 목질계통(木質系統)이기때문에 Chromatography가 선명(鮮明)하게 나타나지 않아 부숙도(腐熟度)의 기준치(基準値)로 적용(適用)할 수 없었다. 라. CEC 함량(含量)은 부숙(腐熟)이 진행(進行)될수록 높아졌으며, 부숙온도(腐熟溫度)가 높았던 처리구(處理區)에서 CEC함량(含量)이 높아 '88년(年)에는 우분(牛糞)+나무껍질구>우분(牛糞)+볏짚구이고, '89년 우분(牛糞)+나무조각구>우분(牛糞)+볏짚구이며, '90년 우분(牛糞)+볏짚구>우분(牛糞)+톱밥구가 높았다. 마. 환원당율(還元糖率)('90년(年))은 부숙온도(腐熟溫度)가 가장 높았던 우분(牛糞)+볏짚구 보다 우분(牛糞)+톱밥구가 더 낮았는데 이는 우분(牛糞)과 톱밥의 분리(分離)가 잘 되지 않아서 제품(製品)의 T-Cg함량(含量)이 높았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보여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