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Indigenous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VAMF) in Horticultural Crops Grown Under Greenhouse -I. Spore Density and Root Colonization of the Indigenous VAMF in Soil of Some Horticultural Crops

시설원예(施設園藝) 작물(作物)에서 토착(土着) VA균근균(菌根菌)에 관한 연구(硏究) -I. 감염양상(感染樣相)과 밀도(密度)

  • Published : 1991.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indigenous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VAMF) in the rhizosphere soil of horticultural crops grown under greenhouse and open-field condition, in the southern area of Kores. Soil samples collected from the rhizosphere of some sellected horticultural crops, such as cucumber, hot pepper, lettuca, tomato and eggplant grown under greenhouse or open-field condition. All tested crops are considered as mycorrhizal plants. The infection rate of horticultural crops investigated ranged from 38% to 70%, hot pepper and eggplant grown under greenhouse condition showed the highest infection being 66.0% and 70.0%, respectively. Spore densities were from 4.8 to 20.0g-1 on dried soil basis. Spore densities of VAMF in the rhizosphere soils under greenhouse condition were higher than that of open-field conditions. The highest distribution of spores in diameter ranged from $75{\mu}m$ to $106{\mu}m$ in the rhizosphere soil of lettuce, cucumber and tomato while those in hot pepper and eggplant ranged from $75{\mu}m$ to $250{\mu}m$. Glomus sp.-type spores predominated in the slightly acid soil(pH 6.3), while Acaulospora sp.-type spores greatly predominated in the very strongly acid field(pH 4.9).

시설원예(施設園藝) 재배(栽培)가 집단화(集團化)되어 있는 순천시(順天市), 승주(昇州), 보성지역(寶性地域)에 분포(分布)하는 시설(施設) 원예지(園藝地)의 오이, 고추, 상추, 토마토 및 가지 등의 근권토양(根圈土壤)과 뿌리를 채취(採取)하여 근권(根圈)중의 포자밀도(胞子密度)와 기주작물(寄主作物) 뿌리의 감염양상(感染樣相)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은 우리나라 밭 토양(土壤)의 평균치(平均値)를 상회(上廻)하고 있으며,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EC) 조사결과(調査結果)는 0.73~1.00mS/cm수준(水準)을 보이고, 수도작(水稻作) 윤환재배(輪換栽培)가 불가능(不可能)한 지역(地域)의 포장(圃場)은 1.34~1.75mS/cm범위(範圍)였다. VA균근균(菌根菌)의 포자밀도(胞子密度)는 건토(乾土) 1g당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에서 최저(最低) 4.8개에서 최고(最高) 20.2개의 범위(範圍)를 보이고, 노지(露地) 재배지(栽培地)보다 시설재배(施設栽培) 토양(土壤)의 포자밀도(胞子密度)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토양산도(土壤酸度)가 비교적(比較的) 낮은 지역(地域)(pH 4.9부근)은 Acaulospora속(屬)과 Gigaspora속(屬)이 우점(優占)하였고 중성(中性)에 가까운 곳(pH 6.3 부근)은 Glomus속(屬)이 우점(優占)하고 있었다. 조사(調査)된 작물(作物)들의 감염율(感染率)은 38%~70% 범위(範圍)를 보였고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의 가지와 고추에서 가장 높은 70.0%와 66.0%를 각각 나타냈다. 기주식물(寄主植物)들의 근권토양(根圈土壤)의 포자(胞子) 크기별 분포(分布)는 상추, 오이 및 토마토의 경우 $75{\mu}m{\sim}106{\mu}m$범위(範圍)가 가장 많았고, 고추와 가지에서는 $75{\mu}m{\sim}250{\mu}m$ 범위(範圍)가 많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