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Korean Fagaceae by the Pollen

화분(花粉)에 의한 한국산(韓國產) 참나무과(科) 계통분류(系統分類)

  • Received : 1991.02.13
  • Published : 1991.06.30

Abstract

I tried to specify the taxa of Fagaceae in Korea by the character of their pollen grains. The light microscope(LM) and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were used to examine the pollen grains of 19 taxa, 5 genera. The result are as follows. 1. The pollen of Fagaceae in Korea could be grouped into four types and 4 subtypes. 1) Fagus type 2) Castanea type 3) Lithocarpus, Castanopsis type 4) Quercus type (1) Cyclobalanopsis subtype (2) Prinus subtype (3) Dentatae subtype (4) Cerris subtype. 2. The morphology of the granula on the pollen of Quercus was closely related to the differantiation of the shape of the cup scales. 1) The uniformity of branching granula on the pollen grain surface corresponds to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concentric arrangement of cup scales. 2)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pollen grain surface intermingled with large or small granula, simple-granula and tuber granula which have small points of circular prominence, corresponded to those of short cup scales. 3)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polllen grain surface intermingled with large or small granula, simple-granula and tuber granula with an apex of amoeba type corresponded to those of Q. dentata Thunb, with thin, fine and long cup scales. 4)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pollen grain surface intermingled with large of small granula of with only simple-granula, corresponded to those of Q. acutissima carr. with thick, fine and long cup scales. 3.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by coding the sculpture pattern of the pollen grain surface,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surface perforate, the grain size and granula type were coincident with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of plants and showed an intimated relationship even under th level of species.

화분(花粉)의 특징(特徵)으로서 우리나라에서 자라고 있는 참나무과(科)의 분류군(分類群)을 식별(識別)하고자 하였다. 5속(屬) 19종류(種類)의 화분(花粉)에 대(對)하여 광학현미경(光學顯微鏡)과 주사형전자현미경(走査型電子顯微鏡) 관찰(觀察)로서 얻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본과(本科)의 화분(花粉)은 4개(個)의 주형(主型)과 4개(個)의 부형(副型)(Quercus)으로 분류(分類)되었다. 1) 너도 밤나무형(型) 2) 밤나무형(型) 3) 돌참나무, 잣밤나무형(型) 4) 참나무형(型) (1) 가시나무부형(副型) (2) 갈참나무부형(副型) (3) 떡갈나무부형(副型) (4) 상수리나무부형(副型) 2. 화분(花粉)의 과립상문(顆粒狀紋)의 형태(形態)는 참나무속(屬)의 각두인편(殼斗鱗片)의 형태분화(形態分化)와 관계(關係)가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1) 화분표면(花粉表面)의 균일(均一)한 분기과립상문(分岐顆粒狀紋)은 각두인편(殼斗鱗片)이 동심원상(同心圓狀)으로 배열(配列)하는 형질(形質)과 상응(相應)되었다. 2) 화분표면(花粉表面)에 대소과립(大小顆粒), 단과립(單顆粒)과 괴상과립(塊狀顆粒)등이 혼재(混在)하고 괴상과립상(塊狀顆粒狀)의 소철점(小凸占)이 구형(球型)인 형질(形質)은 단인편상각두(短鱗片狀殼斗) 형질(形質)에 상응(相應)하였다. 3) 화분표면(花粉表面)에 대소과립(大小顆粒), 단과립(單顆粒)과 괴상과립(塊狀顆粒)등이 혼재(混在)하고 괴상과립(塊狀顆粒)의 선단(先端)이 Amoeba형(型)을 이루는 형질(形質)은 떡갈나무와 같이 각두인편(殼斗鱗片)이 박질세장(薄質細長)한 형질(形質)과 상응(相應)하였다. 4) 화분표면(花粉表面)에 대소과립(大小顆粒)이 혼재(混在)하나 단과립문(單顆粒紋)만 있는 형질(形質)은 상수리나무의 각두(殼斗)와 같이 후질세장(厚質細長)한 각두인편(殼斗鱗片)의 형질(形質)과 상응(相應)하였다. 3. 화분표면(花粉表面)의 무늬형태(形態), 표면미공(表面微孔)의 유무(有無), 화분잎(花粉粒)의 크기 및 과립(顆粒)의 형태(形態)를 수량화(數量化)하여 Cluster분석(分析)을 한 결과(結果)는 기(旣) 식물계통(植物系統) 분류체계(分類體系)와 잘 부합(符合)되었고 종이하수준(種以下水準)에서도 유연관계(有緣關係)를 잘 나타내 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