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國立公園) 자연경관(自然景觀)의 계량적(計量的) 분석(分析)을 통(通)한 경관관리(景觀管理) 개선방안(改善方案)에 관(關)한 연구

A Study on Proposal of Landscape Management Improvement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National Parks

  • 김세천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조경학과)
  • Kim, Sei Che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ollege of Agricul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1990.12.22
  • 발행 : 1991.03.31

초록

우리나라 대표적(代表的)인 산악형국립공원(山岳型國立公園)이라 할 수 있는 지리산(智異山) 산림(山林)의 시각자원(視覺資源)을 대상(對象)으로 시각자원관리(視覺資源管理)를 위한 객관화(客觀化)된 정량적(定量的)인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시(提示)하는 것을 목적(目的)으로 설정(設定)된 가설(假設)과 실험(實驗)에 의한 검증과정(檢證過程)을 실시(實施)하였다. 심리량분석(心理量分析)을 위해 S.D Scale 측정(測定)에 의한 공간(空間)의 이미지구조(構造)를 인자분석(因子分析) Algorithm을 통(通)하여 밝혔으며 시각적(視覺的) 선호도(選好度) 측정(測定)을 실시(實施)하여 결정인자추출(決定因子抽出)과 각(各) 인자(因子) 상호간(相互間) 상대적(相對的) 중요성(重要性)을 구명(究明)하였다. 국립공원(國立公園)의 자연경관(自然景觀)과 융화(融和)를 전제(前提)로 한 수림(樹林), 하늘, 수면(水面), 기암괴석(奇岩怪石) 등(等)의 자연요소(自然要素)와 사찰건물(寺刹建物) 등(等)의 요소(要素)를 지닌 시각요소(視覺要素)가 긍정적(肯定的)으로 높게 나타날 수 있도록 대상지향성(對象志向性)과 형수성(亨受性)을 높일 수 있는 체험(體驗)의 장(場)을 이루게 하여 경관적(景觀的) 가치(價値)를 높이며, 인공구조물(人工構造物) 요소(要素)에 대(對)한 보다 계획적(計劃的)이고 체계적(體系的)인 설치(設置) 등(等)의 시각자원관리(視覺資源管理) 기법(技法)이 필요(必要)하다 하겠다. 자연경관내(自然景觀內) 인위적(人爲的) 이질요소(異質要素)가 보완적(補完的), 융합적(融合的)으로 작용(作用)하는 공간(空間)에서는 시각적(視覺的) 표현(表現)의 다양성(多樣性)과 양감적(量感的) 요소(要素) 및 주변경관(周邊景觀)과 일관(一貫)된 맥락(脈絡)을 유지(維持)하는 분배(分配)와 연결(連結)의 상호(相互) 관계(關係)를 고려(考慮)하여 도입(導入)한다. 또한 자연(自然)과 인공(人工)의 균형(均衡)이 고려(考慮)되는 시각적(視覺的) 연속성(連續性), 구조물(構造物)의 형태적(形態的) 간결성(簡潔性), 동화성(同化性), 강조성(强調性), 이질요소(異質要素)의 통일성(統一性) 및 비례(比例) 등의 배열미(配列美)에 대(對)한 종합적(綜合的)인 기준설정(基準設定)이 요구(要求)된다 하겠다.

This study is focusted to the national park of Korean typical mountain Chi-ri, its visual resources of forests, and practiced inspectind course by way of hypothesis and tests, to show visual resource management objectively, and that of quantitative basic data. spatial image structure measured by Semantic Differential(S.D.) Scale was shown through factor analysis algorithm for the analyzing psychological amount and examined the flowing out of decisive factor and the objective importance related mutual factors by appling the measurement of visual quality. Also, it has been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grees of expectation which is used before and of satisfaction which is used, by appling instrumental expectation theory. And showed patterns of investigation area through factor analyzing algorithm. As a national Park, visual factors that have natural landscape harmonized forest, sky, surface of the water, curious stones and rocks, temples should be escalate their values affirmatively so as to be the scenery of pointed direction and enjoyable, and it is needs the techniques visual resource management and its controlling technique to make artificial structures more intentional planning and systemical setting. Manmade distinctive quality in the spatials that affect complementally or harmonizingly, should be received considering relations between the distifution and joining which in line with various visual presenting massive factors. More than that, it is needed united basic standard to the beauty of arrangements which contain visual continuity considered balance between nature and human work, simplicity of structural types, assimilation, emphasis, unification of different factors and pro rata.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문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