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ethod of Assessing Spatial Speech Transmission Quality as an Indicator of Room Acoustics -Concentrated on the Articulation Test under Variable Ambient Noise-

건축 음향의 실내 청취조건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변동외부소음하의 명료도시험에 관하여-

  • 한명호 (전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 이태강 (전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 오양기 (전남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
  • 김선우 (전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Published : 1991.02.01

Abstract

Articulation test is a good predictor of spatial speech transmission quality. Like many other languages, articulation testing method using Korean language was proposed in 1989, and which was proved as a valid indicator in rooms with static background noise. In this paper, the testing method is examined in variable noise conditions. According to the experiment performed in 26 classrooms with variable background noise, the proposed articulation testing method using Korean Language is still in variable conditions.

명료도시험은 실내에서 음성이 정확히 전달되는 정도를 정량화할 수 있는 유용한 건축음향의 지표중 하나이다. 많은 나라에서 이미 표준화하여 사용하고 있듯이, 한국어에 적합한 명료도시험의 기준이 1989년에 제안되었으며, 안정적인 배경소음조건에서 위의 시험방법은 그 타당성이 입증된 바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위의 제안된 명료도 시험방법이 변동하는 외부소음의 조건에서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소음레벨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26개 교실에서 수행한 명료도시험과 음향측정에 의하여, 한국어 음원에 대하여 제안된 명료도시험 방법은 실내의 청취조건을 평가하는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