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취가 쌀보리 품종의 청초생산과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 on Forage Production and Grain Yield of Naked Barley Cultivars

  • 발행 : 1991.08.01

초록

제주지방에 있어서 청초 및 종실 겸용재배에 알맞은 쌀보리 품종을 선발하고 재배유형과 품종과의 상호작용을 구명하고자 8개의 국내 장려품종을 종실단용구(11월 5일 파종), 겸용재배구 I (9월 27일 파종 ; 11월 1일, 12월 10일, 2월 l0일 예취), 겸용재배구 II(10월 17일, 파종; 12월 10일, 2월 10일 예취)에서 각각 재배하여 건초수량, 예취 후 생육, 종실수량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겸용재배구 I의 평균 건초 수량은 195-296 kg/10a이었고 새쌀보리와 내한쌀보리의 건초 수량이 280, 296kg/10a으로 다른 품종보다 많았으나 겸용재배구 II의 평균 건초수량은 106-143kg/10a으로 품종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성숙기, 도복정도, 흰가루병 이병정도, 천립종, 종실수량은 품종과 재배유형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고 출수기, 엽면적지수와 건물중, $m^2$당 수수, 수당 입수, 1ι중은 재배유형간에 차이가 없었다. 겸용재배구 I, II에서 종실단용구에 비하여 출수가 3일 늦어 졌고 간장과 수장이 단축되는 경향이었다. 3. 5월 6일 비바람에 기인되었던 도복은 겸용재배구 I에서 적었다. 성숙기 도복은 송학보리와 내한쌀보리를 제외하고는 겸용재배구 I, II에서 적었다. 흰가루병 이병정도는 내병성 품종에서는 재배유형간 차이가 없었지만 이병성 품종에서는 겸용재배구 I, II에서 적었다. 4 8개 품종 평균 종실수량은 종실단용구와 겸용재배구 I 에서 각각 352, 344kg/10a로 비슷하였으나 겸용재배구 II에서 종실단용구에 비하여 9% 감소하였다. 겸용재배구 II에서만 새쌀보리와 향천과 001의 종실수량이 종실단용구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적었다. 5. 건초 및 종실수량, 도복 등을 고려하여 볼때 겸용재배에 적합한 품종은 송학보리였다.

Eight naked barley cultivars were grown in three production systems to select proper cultivars for dual production of forage and grain and to determine production system x cultivar interactions. In the forage systems. barley was seeded on September 27 and October 17, harvested for forage on November 1. December 10 and February 12 from the September 27 planting (forage system I) and on December 10 and February 12 from the October 17 seeding(forage system II). In the grain-only system, barley was planted on November 5. In forage system I, oven-dried forage yields of eight cultivars ranged 195 to 296kg/10a and Saessalbori and Naehanssalbori yield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cultivars recording 280 and 296kg/ l0a, respectively. In forage system II, oven-dried forage yields of eight cultivars ranged 106 to 143kg/10a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ultivars. Production system x cultivar interactions were significant for lodging at maturity, powdery mildew rating, 1000 kernel weight and grain yield. Leaf area index and biomass at heading, no. of spikes per $m^2$, no. of kernels per spike and test weight were not affected by the production system. Forage utilization delayed heading by 3 days and reduced culm length, spike length, lodging due to heavy rain on May 5 and lodging at maturity except for Songhagbori and Naehanssalbori. Forage utiliz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grain yield from the September 27 planting but reduced 9% from the October 17 planting. while Saessalbori and Hyangcheonggwa 1 yielded significantly less than in the grain-only system. Songhagbori appears to be a proper cultivar for dual production of forage and grain in Cheju, considering forage and grain yields. and lodging and powdery mildew resistan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