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Phosphate Rate on Growth and Yield of Sweet Corn Grown in Volcanic Ash Soils

화산회토에 있어서 인산시비량이 단옥수수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91.02.01

Abstract

In 1986, at Cheju and Seoguipo, a sweet com hybrid, Golden Cross Bantam 70, was grown at 5 phosphate rates (0, 8, 16, 24 and 32 kg/l0a) to determine effects of phosphate rate on growth and yield of sweet com and to recommend the optimum phosphate rate for sweet com production in volcanic ash soils of Cheju province. Days to silking were shortened 1 to 2 days by phosphate application of more than l6kg/10a. Culm length, ear height and fresh stover yield/l0a did not differ between two locations, but linearly increased as phosphate rate was increased from 0 to 32kg/10a. Average length and weight of marketable ears were greater at Cheju than at Seoguipo and linearly increased as phosphate rate increased. The number of marketable ears per plant and per l0a did not differ between two locations, but quadratically increased as phosphate rate increased. The economic optimum phosphate rate estimated on the basis of the quadratic model, ranged 25.6 to 27.4kg/10a at various fertilizer-to-ear price ratios.

인산흡착력이 매우 크고 유효인산함량이 낮은 제주도 화산회토에 있어서 단옥수수 적정인산시비량을 밝히고자 1986년 제주(제주통)와 서귀포(남원통)에서 인산시비량( 0, 8, 16, 24, 32kg/10a)에 따른 단옥수수 교잡종 Golden Cross Bantam 70의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사일수는 무인산구에서 보다 인산 16kg/10a 이상 시용에 의하여 1~2일 단축되었다. 2. 간장, 착수고, 10a당 생간엽 수량은 두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인산시비량이 많을수록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3. 상품성 있는 이삭의 정균 길이 및 무게는 서귀포에서 보다 제주에서 컸었고, 인산시비량이 많을수록 큰 경향이었다. 4. 주당 또는 10a당 상품성 있는 이삭수, 10a당 이삭수량은 두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인산시비량이 많아짐에 따라 이차곡선적인 증가를 보였다. 인산시료와 단옥수수 가격을 고려한 적정인산시비량은 약 26kg/10a로 추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