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lope Orientation and Altitude on the Forage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Alpine Pasture

고산지대초지의 사향지별 및 표고별 차이에 따른 수량과 식생변화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91.12.01

Abstract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1985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lope orientation, north and south facing exposures and three different altitudes, 800, 1,000 and 1,200m a.s.1. on the dry matter yield, forage quality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alpine pasture. 1. Total dry matter yield of alpine pasture was influenced by slope orientation and altitude. An average forage yield of both exposures at 1,000m a.s.1. was 9,301kg/ha compared with 10,274kg/ha at 800m a.s.1. and the productivity express in relative percentage decreased by 9.5% per 200m attitudinal increase. 2. An average forage yield of both altitudes, 800 and 1,000m a.s.1. on the south facing exposure was 21.5% higher than that on the north exposure. 3. Crude protein concentration of forage grown on both exposures was lowest at 800m a.s.1. increasing gradually as the altitude increased, but crude fiber concentration decreaced in a manner opposite to that of crude protein. 4. Forage grown on the north facing exposure had a higher concentration of crude protein than that grown on the south facing exposure at the same altitude, but lower concentraion of crude fiber. 5. Orchardgrass and timothy were two main species on both exposures at 800m a.s.1. but timothy was only dominant species at 1,000 and 1,200m a.s.1. and performed well up to 1,200m a.s.1. in alpine area. The economic production limit of orchardgrass would be about 800m a.s.1. in the alpine pasture. 6. No soil property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north and south facing exposures as well as three different altitudes in the alpine pasture. It seemed that the previous pasture fertilization of the experimental field completely overshadowed any soil property differences from slope orientation and altitude.

고산지대에서 사향지(남향 및 북향) 및 표고별(800m, 1,000m 및 1,200m)에 따른 초지의 사초 건물수량, 품질 및 직생비율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985년의 목초생육기간중에 시험조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산지대 초지의 사초 총 건물수량은 사향지 및 표고에 따른 영향을 받았고 표고 1,000m에서 남향 및 북향초지의 평균 사초 수량은 ha당 9,301kg이었으며, 표고 800m에서는 10,274kg로 초지의 생산성은 표고가 200m 높아짐에 따라 9.5%가 낮아졌다. 2. 표고 800m 및 1,000m에서 사초의 평균 수량은 남향초지가 북향초지보다 21.5% 높았다. 3. 남향 및 북향초지에서 생산되는 사초의 조단백질함량은 표고가 800m에서 가장 낮았으나 표고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 증가되었고 조섬유함량은 이와는 상반된 경향을 보여주었다. 4. 북향초지에서 생산되는 사초의 조단백질함량은 같은 표고의 남향초지에서 생산된 사초의 조단백질함량보다 높았으나 조섬유함량은 낮은 편이었다. 5.표고 800m에서의 남향 및 북향지의 주된 초종은 orchardgrass 및 timothy였으나 표고 1,000m 및 1,200m에서는 timothy가 우점초종이 되었으며 고산지대에서 표고가 1,200m 될 때까지는 timothy의 생육이 좋았다. 고산지대 초지에서 orchardgrass에 대한 경제적인 생산한계 표고는 약 800m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6. 고산지대의 초지에서 사향지 및 표고별에 따론 토양의 특성차리는 발견할 수가 없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본 시험조사가 수행된 초지에 대한 시험전 목장으로부터의 비배관리의 영향때문인 것으로 보여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