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ailure Mechanism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under Strip Load

대상하중하의 보강토옹벽의 파괴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 유남재 (정회원,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김영길 (정회원,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Published : 1991.12.01

Abstract

Based on centrifuge model tests, the failure mechanism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under strip load was investigated in this paper. Tests were performed by changing the materials of reinforcing strips, strip lengths, and strip arrangements. The strips were strain-gauged to measure the tensions in strips.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various design methosds in use to verify their feasibility. Consequently, a centrifuge model test was an effective method of investigating the behavior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The 2 : 1 stress diffusion method showed comparable results with tests in estimating the capacity of the reinforced earth wall under strip load. The superposition of tensions due to selfweight of the backfill and strip load was valid to estimate total tensions mobilized in strips. Using the elasticity theory to estimate the maximum tension mobilized in strips due to surcharge, while solutions of Boussinesq and Westergaard underestimated less tensions than the measured valises, Frohlich solution showed the comparable results with tests.

본 논문에서는 원심모형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의 상재하중하의 보강토옹벽의 파괴 메카니즘에 관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모형실험은 보강재의 재질, 길이, 배열을 변화시키면서 실시하였으며 보강재에 유발되는 인장력 을 측정하기 위하여 strain gauge를 부착하였다.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설계 및 해석방법들과 비교함으로서 그들의 타당성 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원심모형실험은 보강토옹벽의 거동을 연구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상 재하중하의 보강토옹벽의 극한 지지력을 산정하기 위한 2:1응력 분포법은 실험결과와 일치하였다. 뒷채움재의 자중과 상재하중에 의하여 보강재에 유발되는 인장력을 산정하기 위한 중첩법이 유효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탄성이론을 사용하여 상재하중에 의해 보강재에 유발되는 최대 인장력을 산정한 결과 Boussinesq와 Westergaar해는 실험결과 보다 작게 산정된 반면에 Frohlich해는 실험결과와 일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