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phological Variability in Endarachne binghamiae J. Agardh (Phaeophyta) from the East Coast of Korea

갈조식물 Endarachne binghamiae J. Agardh의 동해안에서의 형태적 변이

  • 유경식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1.03.01

Abstract

Morphological variability was quantified for Endarachne binghamiae J. Agardh from five local populations collected in December, 1989 and in March, 1990. The sampling sites were chosen at intervals of 50'N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Fifty individuals were haphazardly collect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ade length and reproduction, among which twenty five individuals were randomly selected for morphological variation. The Korean plants of E. binghamiae had the capacity of reproduction at an early stage of growth. The holdfast diameter and the plurangial length showed clinal variation of increment from the north to the south whereas the cryptostomata from the south to the north. The holdfast diameter, the blade thickness, the number of plurangial blades and the cryptostomata increased from December to March, when the blade length decreased. Endarachne is distinguished by the densely interwoven hypha I cells in the medulla, [our to eighteen rows of the plurangial compartments, and absence of paraphyses between plurangia. Therefore E. binghamiae should not be combined into Petalonia, but rather the Soviet plants of P. zosterijolia may be renamed as a taxon belonging to the genus Endarachne.rachne.

Endarachne binghamiae J. Agardh의 형태적 변이를 조사하여 분류학적으로 고찰하였다. 북위 50' 간격으로 동해안의 안인, 신남, 후포, 강구, 대본을 채집 대상자로선정하여, 1989년 12월과 1990년 3월에 각 장소에서 50개체씩 임의로 채집하고 체장 계급별 생식율을 조사한 후, 이중에서 25개체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형태적 특징을 정량화하였다. E. binghamiae의 한국산 식물들은 생장의 초기부터 생식기관을 형성한다. 가근의 직경과 복자낭의 길이는 북에서 남으로 경사변이(clinal variation)을 보이는 반면 모총의 수는 남에서 북으로 경사변이를 보인다. 가근의 직경, 엽상체의 두께, 모총의 수 및 복자낭을 가진 엽상체의 수는 3월에 증가하나, 엽상체의 체장은 감소한다. Endarachne 속은 수층에 꼬여 있는 사상형의 가근세포가 밀집하여 있고, 복자낭의 층수가 4-18열이며, 측사가 없다는 점에서 근연속들과 분류학적으로 뚜렷이 구별된다. 따라서 E. binghamiae는 Petalonia속 식물로 개명되기 보다는 오히려 소련산 P. zosterifolia가 Endarachne속에 속하는 한 분류군으로 개칭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