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demiological Studies of Digenetic Trematodes in Yongyang County, Kyungpook Province

경북 영양퇴역 흡충류 역학조사

  • 정동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김영인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영양군 보건소)
  • Published : 1991.12.01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endemicity of trematode infections in Yongyang County, Kyungpook Province, Korea. One hundred and seventy-seven out of 955 residents examined were found to be infected with one or more kinds of helminthes. The prevalence rate was 18.5%. Among them, 70 were found to be infected with Clenorchis sinensis, 74 with Meta-gonimus sp. and 2:l with both flukes. The eggs of Fasciolidae were demonstrated from two specimens. The prevalence rate of clonorchiasis in males was 12.6%, while that in females was 3.6% (p<0.05). The prevalence of metagonimiasis in males was 12.0% and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6.1% in females (p<0.05). The intensity of both infections was significantly heavier in males than in females. The prevalence of both nukes was higher in residents of oyer 30 years of age than in those below that age.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intensity and the age group. Among eight species of the fresh-water fish collected at the Panbyon River, Zacco temmincki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ly and heavily infested with metacercariae of Metagonimus sp., and Gnathopogon asromaculatus alone was found to be infested with metacercariae of Clonorchis sinensis.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Yongyang area still remains endemic with Clonorchis sinensis and Metagonimus sp. infection.

경북 영양지역 주민들의 흡충류 감염실태와 제2중간숙주 담수어의 흡충류 피낭유충의 기생상을 규명하기 위해 역학조사를 시행하였다. 충란검사는 반정량적 formalin-ether 집란법에 의거하였고 흡충류 충란양성자는 Stoll씨 충란계산법으로 감염정도를 추정하였다. 흡충류 피낭유충의 기생상은 슬라이드 글라스 여박법과 인공소화법으로 조사하였다. 피검자 955명중 18.5%(177명)에서 요충군이 검출되었고 그 중 흡충류 충란은 간흡충 단독감염자 7.3%(70명), 이형흡충류 단독감염자 7.7%(74명), 간흡충과 이형흡충류 이중감염자 2.5%(24명), 간흡충과 경충 이중감형자 0.1%(15명), 및 간질 위감염자 0.1%(1명)으로 17.9%(171명)에서 검출할 수 있었다. 성별 간흡충 감염은 남성 675명중 12.6%(85명), 여성 280명중 3.6%(10명)으로 남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형흡광류 감염 역시 남성 675명중 12.0%(81명), 여성 380명중 6.1%(17명)으로 남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감염정도도 우흡충 모두 남성에서 여성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30세 이상군에서 30세 미만군보다 심한 감염정도를 나타내었다. 10∼19세군에서는 양 흡충류의 감염자가 없었다. 감염정도와 연령사이에는 유의한 연관을 인정할 수 없었다. 반변천에서 채집된 8종의 담수어중 횡천흡충 피습유충의 기생률과 고 정도는 각각 갈겨니에서 57.5%, 12.4개로 가장 높았고 동사리에서 6.8%, 0.2개로 가장 낮았으며 피래미에서 55.4%, 1.3개로 중간을 나타내었다. 간흡충 피낭유충은 몰개에서만 기생률 23.3%, 그 기생정도 2.1개로 나타났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경북 영양지역은 간흡충과 이형흡충류의 만연지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