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황금 표식법을 이용한 요꼬가와흡충의 조직내 항원성 부위에 관한 연구

Antigenic localities in the tissued of Metagonimus yokogawai observed by immunogoldlabeling method

  • 안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풍토병연구소) ;
  • 임한종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풍토병연구소) ;
  • 김수진 (한림대학교 생물학과)
  • Ahn, Hyuk (Department of Parasitology and Institute for Tropical Endemic Disease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Rim, Han-Jong (Department of Parasitology and Institute for Tropical Endemic Disease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im, Soo-Jin (Department of Biology, Hallym University)
  • 발행 : 1991.09.01

초록

요꼬가와흠흡에 감염된 숙주에서 항체생성을 유도하는 물질의 충체 래에 분포하고 있는 부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조군의 실험동물 IgG와 요꼬가와흡충에 감염된 실험고양이의 특이항체 IgG를 요꼬가와흡충 성충조직에 반응시키고 면역황금표식법을 이용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조군의 IgG를 반응시킨 조직항원에는 환금입자의 표지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표피층은 표피세포들의 원형질돌기들이 표피합포체를 구성하고 있었으며 기저층은 분명하게 구별되고 경육층도 잘 발달되어 있었다. 난황세포는 크기가 다양한 분필과립들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조면소포체가 특히 발달되어 있었다. 맹관의 막구조물은 잘 발달되었으며 장상피 합포체도 잘 발달되어 있었다. 저정낭에는 정자가 전자밀도가 릎은 두부와 미세소관이 잘 발달한 미부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배설낭은 배설낭 상피에 막구조물이 관찰되었고 충란은 전자밀도가 높은 난각이 관찰되었다. 요꼬가와흡충에 감염된 실험동물의 IgG를 반응시킨 조직항원의 표피충에는 표피합포체와 표피세포의 세포질에 황금입자가 높은 밀도로 표지되어 강한 항원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난황세포의 분필과립과 맹관 막구조물과 맹관 내강에도 환금입자가 높은 밀도로 관찰되어 항원성이 강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저정낭의 정자와 배설낭의 막구조물에는 적은 수의 황금입자가 표지되어 항원성이 미약한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자궁의 충란 난각에는 황금입자가 다소 표지되어 항원성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요꼬가와홉충에 감염된 실험 고양이는 요꼬가와흡충의 표피합포체와 표피세포에서 생성된 물질과 난황세포에서 생성된 물질에 의하여 면역항체가 형성되며 일부는 맹관 내용물에 의하여 면역항체가 유도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는 69.7%의 같은 비율로 높았다. 이상으로 요충 감염은 아직까지 높은 상태임을 알았고 예방을 위한 집단 구충에는 전 집단에 대한 3회 이상의 반복구충이 효과적이었다. gas layers is also made. Low resolution spectral intensities at the boundary are obtained for uniform, parabolic and boundary layer type temeprature profiles using the obtained for uniform, parabolic and boundary layer type temperature profiles using the obtained WSGGM's with 9 gray gases.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narrow band spectral intensities as obtained by a narrow band model-based code with the Curtis-Godson approximation. Good agreement is found between them. Local heat source strength and total wall heat flux are also compared for the cases of Kim et al, which again gives promising agreement.면적 306~453$\textrm{cm}^2$, 유색계의 경우 수당면적 340~453$\textrm{cm}^2$ 일 때 경제능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고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첨가구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8.4%. 79.7% 그리고

In order to determine the antigenic localization in the tissues of the adult Metagonimus yokegawai, immunogoldlabeling method was applied using serum immunoglobulins (IgG) of cats which were infected with isolated metacercariae from Plecoglossus altivelis. The sectioned worm tissue was embedded in Lowicryl HM 20 medium and stained with infected serum IgG and protein A gold complex (particle size: 12 nm) , It was observed by electron microscopy at each tissue of the worm. The gold particles were observed on the tegumental syncytium as well as cytoplasm of tegumental cells and epithelial lamella of the caecum. The gold particles were not observed on the basal lamina of the tegument, interstitial matrix of the parenchyma, the muscle tissue and mitochondria of the tegument. The gold particles were specifically labeled in the secretory granules in the vitelline cells. They were also labeled on the lumen of bladder and egg shell. The above findings showed that antigenic materials in the tissue of adult worms were specifically concentrated on the tegumental syncytium as well as cytoplasm of tegumental cells and epithelial lamella of the caecu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