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감염시의 세포 면역학적 장어 기전

Antibody-dependent rat macrophage-mediated damage Into the excysted metacercariae of Paragonimus westeymani in vitro

  • 정평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장재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소진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발행 : 1991.03.01

초록

폐홉충(Paragonimus westermani) 초기 감염시의 숙주 면역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폐흡충 피낭유충을 백서에 감염시켜 주별(주별)로 항혈청을 분리하고 등일 백서에서 복강 대식세포(homologous rat peritoneal macrophage)를 얻은 다음, 이들과 폐흡충 탈낭유충 및 숙주 조직 이행중인 유약충으로 effector system을 조작하여 폐흡충 유충에 대한 항체 의존성 대식세포 공격기전을 관찰하였다. 백서 복강 대식세포는 항혈청 출현 시에만 폐흡충 탈낭유충에 대한 세포부착 반응(cell adherence reaction)을 보였고 이 반응에는 보체가 관여하지 않았다. 폐흡충 감염 1주에서 8주까지의 백서 항혈청 중 2주째에 분리한 항쳔청 실험군에서 100%의 세포부착 반응을 나타내었고 사멸된 충체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세포부착 반응은 탈낭 유충기에서만 나타나는 반면 조직이행 유약충에서는 전혀 그 반응을 인정할 수 얼어 폐흡충 감염에 따른 항체의존성 숙주 세포 매개독성(antibodydependent cell·mediated cytotoxicity)은 발육단계 별 특이성을 보였다. 한편, 대식세포의 공격에 의하여 사멸된 폐흡충 탈낭유충의 형태학적 특징은 대식세포와 유충 사이에 형성되는 fuzzy material, tegumental syncytium 내의 미세구조의 변성 및 syncytium과 근육층을 연결하는 tubular tunnel의 형성 등이었다.

An in vitro immune effector mechanism against the target encysted metacercariae of Paragonimus westermani was demonstrated in the rat system. Peritoneal exudate cells, mainly macrophages from normal rats, showed adherence to and killing of encysted metacercariae of p. westermani in the presence of complement-independent serum from rats infected with Paragonimus metacercariae. These reactions were specific for the excysted metacercariae, as tissue-migrating juvenile worms were not affected. Damage of encysted metacercariae of p. westermani due to antibody and macrophages was assessed by morphological observation, by cell adherence reaction and by the use of vital dyes. frypan blue dye exclusion proved to be a reliable indicator of judging metacercarial viability.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demonstrated that macrophages reacted with fusty material on the tegumental surface and fine structures in the syncytium of the parasites. The tubular tunnels formed between the basement membrane and muscle layers of the damaged parasites were also noticeable. The relevance of these findings to cellular immunity in the early paragonimiasis was discuss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