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vities of brush border membrane bound enzymes of the small intestine in iwetagonimus yokogatvai infection in mice

요꼬가와흡충에 감염된 마우스 소장의 미소융모막 효소 활성도

  • 홍성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풍토병연구소) ;
  • 유재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풍토병연구소, 기생충학교실, 한국원자력병원 병리과)
  • Published : 1991.03.01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tended to evaluate the influences of MetagonimMi yokogawai on the activities of brush border membrane bound enzymes of the small intestine. Mice were infected with 500 metacercariae respectively, and the worm recovery, morphological changes and enzyme activities were observed chronologically. A part of them were followed after the treatment. Recovered worms decreased in number continuously after the infection, and they were less than 10% after 2 weeks and almost Bero after 28 weeks. Villous atrophy and stromal inflammation were found at two locations of the proximal jejunum from 2 weeks to 4 weeks after the infection. The enzymes, alkaline phosphatase, leucine aminopeptidase and disaccharidases (sucrase, lactase, maltase, and trehalase), showed lowered activities in the duodenum and proximal jejunum of the infected mice but they increased in the distal jejunum for the first two weeks. From three weeks after the infection, the activities were gradually recovered. In one week treated mice, they recovered the activities at 2 weeks from the treatment, but there found no differences of the activities between the 3 week treated group and infected controls. The present data reveal that M. yckogawai infection induces degenerative changes of the host's intestinal mucosa not only morphologically but functionally during the initial phase of infection. The lowered enzyme activities in acute metagonimiasis should be associated with malabsorption and diarrhea.

요꼬가와흡충은 국내에서 가장 감염이 혼한 장흡충으로 은어나 기타 담수어에 의해 매개되며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이 흡충에 감염되면 심한 설사를 하며 이때 소장의 점막이 퇴행성 변화를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소장 상 피세포의 미소융모막에 분포하는 몇 가지 소화효소의 활성도가 요꼬가와홉충의 감염과 치료에 의하여 받는 영향 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이 흡충에 감염되면 충체가 빠르게 배출되어 감염 2주 이후에는 투여량의 10% 이내의 충체만이 감염되어 있고, 상부 공장에서 감염 2∼4주에만 퇴행성 변화와 염증반응이 관찰되었다. Alkaline phosphatase, leucine aminopeptidase, disaccharidases (sucrase, maltase, trehalase, lactase)의 환성도가 십이지장과 상부 공장에서 감염 2주까지는 감소하였으며 하부 공장에서는 증가하였다. 감염 3주 이후에는 감염군에서의 활성도가 정상 대조군의 것과 차이가 없었다. 감염 1주에 치료한 군의 활성도는 치료 후 2주에 감염대조 군의 활성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하였고, 감염 3주에 치료한 군은 치료를 안한 감염군과 같은 환성도를 보였다. 요꼬가와흡충에 감염된 마우스의 소장에서 초기에 미소융모막 효소의 활성도가 크게 감소하며, 이러한 변화는 형태학적인 병변의 생성 및 회복과 또한 감염된 충체의 수의 시기적 변화와 일치하였다. 요꼬가와흡충 감염 초기에 소장의 소화효소 활성이 감소하는 현상이 미소융모막에서 일어나는 소화 및 홍수를 저해하고 이에 따라서 설사가 초래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