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et Imperfections as an Explanation for Higher Premiums in Foreign Takeovers of U.S. Companies

외국기업(外國企業)이 미국기업(美國企業)을 인수(引受)할 때 지불(支拂)하는 높은 프레미엄에 대한 설명(說明)으로서의 시장불완전성(市場不完全性)

  • Published : 1991.12.31

Abstract

This paper develops a simple model to explain the reasons why foreign acquirers pay significantly higher premiums for U.S. target firms than do U.S. buyers. We also provide empirical work on the valuation effect of foreign takeovers and the determinants of the wealth gains of U.S. target shareholders involved in foreign takeov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target wealth gains are significantly higher in foreign takeovers than in domestic takeovers, after controlling for the wealth effects of payment method, acquisition type, tax status, size and time period of bids. This confirms the valuation effect of foreign takeovers. Furthermore, the results of cross-sectional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variation in U.S. target wealth gains is explained by extra tax benefits stemming from double tax deductions for acquisition-related interest expenses incurred by foreign acquirers. These findings imply that differential taxation across tax jurisdictions is the main source of the valuation effect of foreign takeovers. In addition, we find that there exists a valuation effect of the nationality of the foreign acquirers. Japanese companies pay significantly higher premiums than do non-Japanese acquirers. The finding also indicates that competition among bidders increases the abnormal returns to U.S. target shareholders in foreign takeovers.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기업이(미국의 입장에서 본) 미국기업을 인수할 때에 경쟁자인 미국기 업보다 왜 상대적으로 높은 프레미엄을 지불하는가를 설명할 수 있는 간단한 이론적 모형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고는 외국기업이 미국기업을 인수할 경우에 발생한다고 여겨지는, 상대적으로 높은 피인수기업(被引受企業)의 재산증식효과(the wealth effect of foreign takeovers)및 그것의 결정요인(決定要因)에 대한 실증적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기업인수에 의한 피인수기업의 재산증식효과는 외국기업이 미국기업을 인수한 경우가, 미국기업이 자국기업을 인수한 경우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물론, 이 결과를 얻기 위해, 피 인수기업의 재산증식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 예를 들어, 지불방식(支拂方式)(payment method), 인수형태(引受形態)(acquisition type), 납세상황(納稅狀況)(tax status), 피인수기업(被引受企業)의 규모(規模) 및 인수발표시점(引受發表時點) 등의 요인들을 미리 통제하였다. 그리고, 피인수기업의 재산증식효과는, 외국기업이 미국기업 인수를 위해 조달한 부채(負債)의 이자지불에 대한 모국 및 미국에서의 이중적인 법인세 감면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이 횡단면 회귀분석 결과에 의해 밝혀졌다. 이 결과는 각국(各國)의 상이한 조세제도(調稅制度)가 외국기업이 미국기업 인수시에 발생하는 재산증식효과의 주요원천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외국기업(外國企業)의 국적(國籍)이 피인수기업의 재산증식효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 발견하였다. 특히 일본기업들이 다른 국가 기업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프레미엄를 지불하였다. 그리고 인수기업들 사이에(외국기업 대 외국기업 혹은 외국기업 대 미국기업)경쟁이 존재할 경우, 피인수기업의 주주들이 누리게 되는 초과수익(超過收益)(abnormal returns)이 그렇지 않을 경우보다 훨씬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는 기업경영권(企業經營權)을 매매하는 국제시장(國際市場)(global market for corporate controls)도 미국국내의 기업경영권 시장 만큼 경쟁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으로, 외환(外換)의 구매력지수(購買力指數)로부터의 이탈(離脫)(deviation from purchasing power parity)이나, 외국의 인수기업과 미국의 피인수기업의 산업적 특성 등은 피인수기업의 재산증식효과와는 무관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