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Weaning Practices on Linear Growth Retardation in Low-Income Households in Korea

영유아 식이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

  • Park, Hae-Ryun (School of Nutrition, Tufts University) ;
  • Gershoff, S.N. (School of Nutrition, Tufts University) ;
  • Moon, Hyun-Kyung (Korea Advanced Food Research Institute)
  • Published : 1991.08.30

Abstract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low- income households was carried out on 679 mother-infant pairs to see the effect of weaning practices on growth between March, 1987 and January, 1988 in one rural area, one small city, and one big city, by measuring weight and height of children and intervewing mothers. The sample children showed a linear growth retardation from around 7 or 8 month based on WAZ and HAZ using the Korea Growth Standard. After adjusting both for birth-weight/length and morbidity effect, the ANCOVA test showed that :1) infants who were given supplements were not greater than those of not given. 2) infants who were eating supplements more frequently did not show a larger WAZ or HAZ than those of not eating or sometimes eating them. 3) The caloric intake rates of those of higher food frequencies were not greater than those of lower food frequencies. The context of nutrition education about weaning practices has to be changed stressing not only the early introduction of supplements but also the adequate amount of food intake to secure the rapid growth at this critical age.

저소득층 영유아의 식이형태가 linear growth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하여 1987년 3월부터 1988년 1월까지 대전시, 춘천시, 그리고 춘성군 보건소에서 만 2세 미만의 영유아 679명과 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영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식이섭취를 중심으로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대상아들의 체중과 키를 측정 하였으며 보건소 기록을 이용하여 대상아들의 출생시 체중의 키값을 구하였다. 대상아들은 한국 소아 발육표준치를 이용한 표준 편차점수(Z-score)로 볼 때 체중, 신장 모두 월령 7, 8개월부터 성장지체를 보였다. 출생체중/신장과 질병효과를 통계적으로 조정하였을 때, 이유식을 먹는 대상아들이 모유나 우유만 먹는 경우보다 더 크지않았으며 각종 보충식을 자주 먹는 대상아들이 가끔 먹거나 거의 안 먹는 경우보다 더 크지 않았다. 일일 열량섭취량 분석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즉 식이 형태나 식품섭취 빈도가 열량섭취량으로 연결되지 않았다. 이같은 현상은 월령 8개월 이후의 대상아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유에 관한 영양교육 내용은 기존의 빠른 보충식 도입의 강조 차원 보다는 이시기의 빠른 성장을 뒷받침할 만한 다양한 식품 및 충분한 열량섭취에 관한 보다 자세한 정보가 growth monitoring 함께 어머니들에게 전달되도록 변화되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