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Mutants in the Genes Involved in Mating Pheromone Signalling

효모의 mating pheromone 신호전달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 분리 및 분석

  • Kim, Ji-Hye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Hwan-Gyu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Jahng, Kwang-Yeop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지혜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김환규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장광엽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1.12.31

Abstract

The gene CDC70 encoding the${\alpha}-subunit$ of G protein has been known to be a component involved in mating pheromone signalling in the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To isolate mutations of the genes involved in the signal transduction, Saccharomyces cerevisiae the strain bearing the cdc70-5 mutation was mutagenized to be forced to recover the ability of colony-formation at restrictive temperature, which means the new mutation can suppress the temperature sensitivity of the cdc70-5 phenotypes. Among these suppressors, $sir^-$ and $mat{\alpha}2^{-}$ mutations are excluded because of no relationship to signal transducer. And the selected suppressors were analyzed for the linkage relationships by the tetrad analysis. Out of fifteen suppressors isolated, twelve were classified into four linkage groups, designated as sga1, sga2, sga3, sga4 by the tetrad analysis. The other three genes were determined for the linkage.

효모의 mating pheromone에 의한 세포내 Slgnal을 전달하는 물질을 coding 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유전자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효모에서 G-protein의 ${\alpha}-subunit$를 coding 하는 유전자 CDC70에 돌연변이가 얼어난 균주 $A14-3(MAT{\alpha},\;cdc70-5)$에 UV를 조사하여 돌연변이 cdc70-5를 억제할수 있는 또 다른 돌연변이를 획득하였다 . 돌연변이 cdc70-5의 표현형은 온도 감수성 (temperature sensitivity)이며, $38^{\circ}C$에서 배양하면 세포주기가 G1에서 정지되고 shmoo모양을 보인다 . 균주 A14-3에서 UV를 조사하였을 때 $38^{\circ}C$에서 colony를 형성할 수 있고 세포분열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어 출아를 하고 있다는 것은 새로운 돌연변이가 cdc70-5 의 표현형을 억제 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 이러한 억제돌연변이 중 signal transducer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유전자들인 $sir^-$$mat{\alpha}2^-$ 돌연변이를 배제한 다음 선택된 15개의 돌연변이들를 중심으로 분석을 행하였다 . 어느 유전자에서 유발 되었는지 그리고 유전자 종류는 몇 가지나 되는지를 암기 위하여 tetrad analysis를 통해 연관여부를 조사하여 분리된 15개의 돌연변이중 12개는 4개의 연관군(sga1, sga2, sga3, sga4)에 속함을 알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