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ingle and Repeated Electroconvulsive Shock on the Acetylcholine and Polyamine Contents in Temporal Cortex and Decorticated Cerebrum of Mice

경련성 전기충격에 의하여 나타나는 측뇌-피질과 피질을 제외한 대뇌의 Acetylcholine및 Polyamine 함량-변동에 관한 연구

  • Choi, Sang-Hyun (Department of Pharmac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Hak-Hee (Department of Pharmac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Chung-Sa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nk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 Boe-Gwun (Department of Pharmac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 Yeon-Sook (Department of Pharmac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최상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이학회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박청산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전보권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천연숙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Published : 1991.06.30

Abstract

There are some rather conflicting reports correlating ECS-induced changes of brain acetylcholine, and recently, Zawia and Bondy(1990) proposed the biological role of polyamine system in the long-term adaptive responses of brain to electrical stimulation.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single or repeated ECS(10mA, 100cps, 1sec; 5 ECS spread out over 9 days) on the brain acetylcholine(ACh) and polyamine contents of male mice. The ACh contents of temporal cortex(TCx) and decorticated cerebrum(dc-CB) were markedly increased by 79.9% and 49.4%, respectively, 10 and 30 min after ECS, and the increases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with repeated 5 ECS, particularly in dc-CB. The putrescine concentrations of both TCx and dc-CB were little different and not affected by 1 ECS or 5 ECS. But the spermidine(Sd) concentration was higher in dc-CB and spermine(Sm) higher in TCx. While they were moderately decreased after 1 ECS, and their decreases were accentuated after 5 ECS, particularly in dc-CB.Sm(30mg/kg, i.p. inject. 30min before ECS) did not affect the ECS-induced increase of ACh content. Thease results suggest that both of brain ACh and polyamine may be implicated with the long-term adaptive responses to electrical stimulation

뇌에 대한 경련성 전기충격(electroconvulsive shock: ECS)을 이용한 치료가 시작된 후, 50여년에 걸처 이의 생물학적 작용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나, 이렇다할 결과가 아직 없으며, 특히 뇌의 신경전달물질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acetylcholine의 함량이 ECS로 증가되는지 감소되는지 확실치 않다. 더욱이, 대체로 조직의 재생능에 비례하는 함량의 증감을 보이는 polyamine함량이 가장 재생능이 미약한 뇌에 고농도로 있으며 뇌의 국소에 따라서도 그 함량에 큰 차가 있고, 뇌의 polyamine-합성 또한 ECS에 의하여 촉진된다고 하는데, 최근에 Zawia와 Bondy는 polyamine-대사가 뇌-신경의 장기적 적응현상에 관련됨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웅성 ICR계 생쥐에 ECS(13mA, 100cps, 1sec)를 단회(1 ECS)-부하하여 나타나는 변동을 검색하고 그 결과를 5회(매일 1회씩 이틀마다 5회: 5 ECS)-부하하여 얻은 것과 비교-검토하였다. 측뇌-피질(temporal cortex: $TC{\acute{x}}$)과 피질을 제거한 대뇌(decorticated cerebrum: dc-CB)의 acetylcholine(ACh)함량이 1 ECS 부하후 각각 10분 및 30분에 79.9 및 49.4% 증가되었으며, 이 증가가 5 ECS 부하시에는 유의하게 감약되었던 바, 특히 TCx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Polyamine의 경우, putrescine함량은 TCx 및 dc-CB에서 1 ECS 및 5 ECS 어느 부하에 의하여도 별 변동을 보이지 않았으나 spermidine(Sd) 및 spermine(Sm)은 1 ECS 후에 다소 감소되었을 뿐 아니라 그 감소의 크기가 5 ECS 후에는 현저히 증폭되었고, 특히 dc-CB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또한 ECS를 4회-부하하고 24시간 후의 Sd및 Sm 함량은 ACh 함량과 달리 정상치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으며, 따라서 ECS에 의한 ACh함량-변동에 미치는 Sm(30mg/kg, 복강내주사)의 영향을 관찰하였던 바 별 변화를 볼 수 없었다. 이상의 성적은 반복되는 ECS에 대하여 대뇌의 ACh 및 polyamine대사가 각각 특이적인 적응성 변동을 보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