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가소성 고분자를 이용한 사관능성 에폭시 수지의 강인성 향상에 관한 연구

Toughness Improvement of Tetrafunctional Epoxy Resin with Thermoplastic Polymer

  • 심정섭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 정호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 장정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분자복합재료연구실)
  • Shim, Jyong-Sup (Department of Chemical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ung, Ho-Soon (Department of Chemical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ang, Jyong-Sik (Polymer Composites Laboratory,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 투고 : 1990.11.22
  • 발행 : 1990.12.31

초록

최근 개발된 사관능성 에폭시 수지인 EPON HPT 1071과 diaminodiphenyl sulfone (DDS) 경화제를 이용하여, 이 HPT 1071/DDS계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할 목적으로 열가소성 고분자인 Poly(aryl etherimide) (PEI)를 도입하여 그 영향을 고찰하였다. HPT 1071/DDS계의 경우, 에폭시/DDS계의 농도를 각각 0.54, 0.71, 1.0으로 달리한 조성들의 강인성과 굴곡강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HPT 1071/DDS/PEI 계에서는 PEI 농도가 증가할수록 에폭시 경화물의 강인성 및 굴곡강도는 증가하였으며, 수지와 PEI의 상용성으로 인하여 심한 상분리가 관찰되지 않았다. 경화된 에폭시 수지의 기계적 물성과 형태학에 대한 상관관계도 함께 고찰하였다.

In order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fracture toughness of HPT 1071/DDS system, poly(aryl etherimide) (PEI) was incorporated in the resin system. In HPT 1071/DDS system, mechanical properties of cured epoxy resins were not strongly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DDS curing agent strongly. In the case of HPT 1071/DDS/PEI system, the fracture toughness and flexural properties of epoxy resin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PEI. SEM micrographs of cured epoxy resin indicated that the phase separation occured at the low concentration of PEI in this system. In additio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morphology of modified epoxy resin was undertaken in HPT 1071/DDS/PEI syste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