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Variation of the Water Quality in the Lower Keum River

금강 하류역에서 수질의 시공간적 변화특성

  • YANG Han-Soeb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KIM Seong-Soo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양한섭 (부산수산대학교 해양학과) ;
  • 김성수 (부산수산대학교 해양학과)
  • Published : 1990.07.01

Abstract

Various chemical constituents were measured from April to August 1988 at the down-ward 20 stations of Keum River, which is located in the Midwest of Korea,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with respect to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each constituent. The 24-hrs continuous measurements with 2-hrs interval were made simultaneously at station 2 near the estuary weir and station 9(Ganggyeong) of 35 km upstream from the weir in April. By the results observed for one day in April at station 2, salinity has a range of $7.88\~22.14\%_{\circ}$ and its temporal variability is identical to the pattern of tidal cycle in the neigh-bouring Kunsan Harbor. However, turbidity shows relatively high values only at an interval of 4~5 hours after the lowest salinity time, though hourly fluctuation of pH is very small. Silicate and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have inversively linear correlationships with salinity, implying the concentration of the two nutrients strongly regulated by estuarine mixing of sea and river waters. In contrast, phosphate sustains roughly a constant level over a wide salinity range and distinctly lower values than those corresponding to nitrate in the oceans. Such distributions of phosphate have been observed in some estuaries, and interpreted as driven by removal of dissolved phosphate into bottom sediments and the bufforing of phosphate by particulate matter. COD values at station 2 are relatively high in day-time(particularly afternoon) and in high-salinity periods. At station 9, saltwater intrusion was never found but water level changed to the extent of 2.5 m for one day. Although each parameter at this station exhibits very slight variations in their abundance for 24 hours compared with station 2, the contents of COD, silicate and ammonia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at station 2. Concentration of suspended matter is relatively high in the brackish water region up to $\~20$ km above the river mouth, probably due to strong tidal stirring of the bottom de-posits. Also, relatively high pH, COD and $O_2$ saturation at the upward stations of $40\~50$ km from the weir are presumably attributable to active photosynthesis of plants in the region. In general, COD and nutrients except phosphate are higher values at the upper stations than in the estuary zone, and show the highest abundances in July nearly at all stations. Finally, in the estuarine region tidal mixing of sea-river waters seems to be an important fact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s of turbidity, COD, silicate and nitrate as well as salinity. However, water quality in the upward fresh-water zone is remarkably variable according to months or seasons.

금강본류역의 20개 지점에서 1988년 5월부터 4개월 동안 매월 1회씩 화학성분들을 측정하고, 4월에는 지점 2와 지점 9에서 25시간 동안 연속관측을 실시하여 금강 하류수역의 수질특성과 그 변동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하구둑 상류 300 m(지점 2)에서 4월에 측정한 표 $\cdot$저층수 중 염분의 시간변화는 군산항 조석주기와 거의 일치하였고 규산염, 용존무기태질소 및 질산염의 시간변화는 염분분포와 거의 대칭적이었다. 염분과의 관계로부터 규산염과 질산염의 대부분은 보존적인 거동을 하며 해수의 유입은 하천수중 이 두 성분의 농도를 희석시킨다. 반면에 인산염은 염분농도와 관계없이 비교적 낮은 농도로 시간별 변화폭도 크지 않다. 이는 대부분의 용존 인산염이 무기침전물이나 현탁물질에 의해 흡착제거되고, 또한 흡$\cdot$탈착 과정에 의해 인산염이 완충되어 있기 때문이라 추측된다. 한편 탁도는 최저염분을 나타내는 시간부터 약 4시간 동안 비교적 높았고, pH는 염분의 시간변화 모양과 유사하나 시간별 pH의 변화는 매우 완만하다. 그러나 COD와 용존산소포화도는 일반 내만역에서의 시간변화 모양과 유사한 것이 특징적이다. 즉 비슷한 염분범위에서 광합성능이 큰 10시 이후 주간에 측정한 COD값이 야간 보다 높으며, 호흡작용이 활발한 야간에는 염분농도가 낮을수록 COD는 낮아지고 AOU값은 커진다. 성분별로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표$\cdot$저층수간 농도차가 매우 작으며, 규산염, 용존무기태질소 및 질산염은 표층이 다소 높고, 그 외의 성분들은 저층이 약간 높다. 하구둑 상류 약 35 km의 강경(지점 9)에서는 염분이 한번도 검출되지 않았으나 수위의 시간변화 폭은 약 2.5 m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화학성분들은 수위의 변화만큼 시간별 농도차가 크지 않고 지점 2에서 보다 매우 완만한 농도변화를 보였다. 규산염, 용존무기태질소, 암모니아의 농도는 지점 2에 비해 월등히 높은 반면 pH 및 인산염은 다소 낮고 그 외의 성분들은 지점 9가 약간 높다. 지점별로 보면 해수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지점 1과 2, 그리고 하구둑으로부터 상류 $40\~55km$의 지점들에서 pH값이 비교적 높으나 그 외의 수역에서는 지점별 차이도 적고 pH값도 낮다. COD 및 용존산소포화도 역시 pH값이 높은 지점들에서 가장 높았으나, 그 수역을 중심으로 상류 및 하류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이와같이 지점 11과 지점 15 사이에서 이들 세 성분이 높은 것은 식물의 광합성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사료된다. 현탁물질은 하구역 특히 하구둑으로부터 300 m에서 약 20 km 까지의 지점들(지점 2에서 지점 6)에서 매우 높은 값을 보이며 이는 조석작용으로 해수와 담수가 강제혼합되면서 표층퇴적물이 재부유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영양염류는 월별로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지점 1과 2에서 가장 낮고, 상류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며 지점 7 상류역이 하류역에 비해 높은 농도이다. 월별로는 7월에 규산염, 용존무기태질소 및 암모니아의 농도가 가장 높은 반면에 용존산소포화도는 가장 낮다. 그러나 지점 14 상류역에서는 5월에 측정한 용존무기태질소, 암모니아, 인산염 및 COD 값이 7월보다 다소 높거나 비슷하다. 한편 영양염류와 COD값은 대체적으로 8월에 가장 낮으나 용존산소포화도는 가장 높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