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onological Study on the Deposits in Yongcheon River

미시령(彌矢嶺) 용촌천(龍村川)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연대학적(年代學的) 연구(硏究)

  • Chun, Kun-Woo (Dep. of Forestry, College of Forestry, Kangweon Nat'l, Univ.)
  • 전근우 (강원대학교 임과대학 임학과)
  • Received : 1990.09.17
  • Published : 1990.01.31

Abstract

Based on the topographical and vegetational indicators on sediment movement of Yongcheon River, the movement occurence years were estimated. 1. The cross sectional shapes of deposits in torrential stream are stepped and even-aged forests tend to be established on each step. 2. Generally the older the forest age is, the higher the height of step from the lowest base tend to become. 3. The ages of trees indicate the year when deposition occured, and so may be useful as plant indicator to get chronological information.

산지유역(山地流域)에 있어서의 토석이동(土石移動)은 체류과정(滯留過程)과 이동과정(移動過程)으로 구분되며, 과거로 부터의 변화과정을 반영하고 있는 현재의 지표면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는 원인과 결과를 분명히 하여야 한다. 여기서 원인이란 단위시간 안에서 유역특성을 구성하는 요인인 지형(地形), 지질(地質), 기후(氣候), 식생(植生), 토지이용(土地利用) 등을 의미하며, 결과란 유역(流域)안에서 발생하고 있는 산사태(山沙汰), 땅밀림, 하상변동(河床變動) 등을 말한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지인 산지급류하천(山地急流河川)에 있어서 상기 원인중 지형(地形)(하천징지형(河川徵地形))과 식생(植生)(동령임분(同齡林分))을 분석하여 결과로서 존재하는 하상변동(河床變動)을 해석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저 하였다. 그 결과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침입수목의 연륜해석(年輪解析)으로부터 하상변동(河床變動)에 대한 공간적(空間的)(퇴적고(堆積高)) 시간적(時間的)(체류기간((滯留期間)) 분포(分布)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기초로 하여 유역간(流域間) 또는 구간간(區間間)의 지표변동(地表變動)의 특성(特性)을 시(時) 공간적(空間的)으로 해석하므로서 보다 객관적인 방재대책(防災對策)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과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