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류균 접종제 개발을 위한 우수 증량제의 선발 및 생산 최적조건

Establishment of some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egume Inoculant

  • 김창진 (한국과학기술원 유전공학센터) ;
  • 이윤 (한국과학기술원 유전공학센터) ;
  • 유익동 (한국과학기술원 유전공학센터)
  • 발행 : 1990.06.23

초록

Rhizobium균을 이용하여 근류균 접종제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우수한 증량제(carrier material)를 선발하고, 근류균의 접종량, carrier의 숙성 및 보존온도, 멸균조건등 근류균 접종제 생산을 위한 각종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류균 접종제 생산을 위한 carrier material source로는 퍼라이트 및 토탄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근류균의 접종량(inoculum size)에 따른 경시적 생존율은 접종초기 $10^4cells/g$ 이하의 균주를 접종하여도 1~2주후에는 $5{\times}10^8cells/g$로 증가하여 $10^8cells/g$ 접종구와 비슷한 균수를 나타내었다. 3. Carrier의 숙성 및 보존온도에 따른 근류균의 경시적 생존율은 특별한 보온이나 냉장시설없이 실온($20^{\circ}C$) 보존에서도 $10^9cells/g$의 높은 균수가 12주째까지 유지되었다. 4. Carrier의 멸균방법에 따른 근류균의 경시적 생존율은 가압습열멸균 처리구에서 생존율이 가장 양호하였으나 각 처리에 따른 큰 차이는 볼 수 없었고, 특히 퍼라이트의 경우에는 멸균처리없이도 12주째 까지 $10^9cells/g$ 이상의 높은 균수를 유지하였다.

The viability of rhizobia according to various kinds of carrier materials, inoculum size, storage temperature and sterilization methods was investigated for the development of legume inoculat. The results were followings. 1. Peat and perlite were favorable as a carrier material. 2. Rhizobia counts were reached to $5{\times}10^8cells/g$ carrier 1-2 weeks after inoculation with inoculum size below $10^4cells/g$ carrier. 3. $10^9cells/g$ carrier was maintained 12 weeks after storage at room temperature. 4. Steam heat sterilization was the best method for carrier sterilization among methods used in this study. Dry heat and ${\gamma}$-ray sterilization were also applicabl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