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토양(土壤)의 토성별(土性別) 유효수분(有效水分)

Available Soil Water for Textural Class of Korean Soils

  • 발행 : 1990.09.29

초록

우리나라 토양(土壤)(제주도(濟州道) 토양(土壤) 제외(除外))의 토성별(土性別)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 평균치(平均値)를 구(求)하고 토양성질(土壤性質) 사이의 상관(相關)을 구명(究明)하고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의 추정식(推定式)을 얻기 위하여 시(市) 군(郡) 대표단면(代表斷面)의 토양분석치(土壤分析値)(표본(標本)크기 : 2,808개(個))를 이용(利用)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토성별(土性別) 평균(平均)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은 사토(砂土) 4.7, 양질토양(壤質砂土) 7.7, 사양토(砂壤土) 13.2, 토양(壤土) 17.7, 미사질양토(徵砂質壤土) 19.2, 식양토(埴壤土) 15.9, 사질식양토(砂質埴壤土) 14.5, 미세질양토(徵砂質埴壤土) 18.7, 미사질식토(微砂質埴土) 17.3 그리고 식토(埴土) 14.9%이었다. 2.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일때의 수분함량(水分含量)과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은 대체로 조립질토양(組粒質土壤)에서 모래 그리고 세립질토양(細粒質土壤)에서는 유기물(有機物), 영구위조점(永久萎凋點)에서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점토(粘土)가 가장 크게 관계(關係)가 있었다. 3.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은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일때의 수분함량(水分含量)과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내었고 영구위조점(永久萎凋點)일때의 수분함량(水分含量)과는 상관(相關)이 없었다.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은 미사(微砂)의 영향(影響)을 크게 받았다. 4. 토성별(土性別)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일때의 수분함량(水分含量) 및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의 추정식(推定式)이 얻어졌다.

Some of soil properties already known were select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ir effect on soil moisture characteristics. Total number of 2,808 representative samples from all over Korea with the exception of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1. Available water contents were 4.7 for S, 7.7 for LS, 13.2 for SL, 17.7 for L, 19.2 for SiL, 15.9 for CL, 14.5 for SCL, 18.7 for SiCL, 17.3 for SiC, and 14.9% for C, respectively. 2. Sim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field capacity and available water content were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sand content in coarse-textured soils, and with organic matter content in fine-textured soils, whereas permanent wilting point was closely associated with clay content. 3. Available water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silt content and also significantly with field capacity, but either not at all or negatively with permanent wilting point. 4. Prediction equations for available water and field capacity were drown out from known soil properties, which can be used for each textural clas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