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mical properties of soybean-cultivated field soils

대두재배 농가포장 토양의 화학적 특성

  • Yoo, Sun-Ho (Dept. of Agr. Chem., Seoul National University) ;
  • Ro, Hee-Myeong (Dept. of Agr. Chem.,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Ho (Dept. of Agr. Chem.,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Chan-Sub (Dept. of Agr. Chem., Seoul National University)
  • 유순호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노희명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이상호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김찬섭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Published : 1990.12.29

Abstract

In order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s on the reasonable fertilization and soil management systems for a high soybean yield, both soybean leaves and soils were collected from 24 soybean-cultivated fields in central area of Korea, and analyzed. For this study, soybean leaves and soil were sampled together in July of 1988(growing season), and soil alone in October of 1988 (harvesting season) and April of 1989(sowing season) at each sampling site. The results might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oil pH ranged between 4.8 and 6.8. and the pH after harvest decreased to 5.4 which compared with the pH 5.7 of growing season. 2. Both the 1N KCl extractable Al and the 1N $NH_4OAc$ extractable Al in soils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 soil pH. the former concentration was negligible above pH 5.8. 3. The soil total-N and Bray 1-P after harvest were lower than those of growing season. The Bray 1-P's of sample soils were very high irrespective of sampling time. 4. The exchangeable Ca and Mg in soils even after harvest varied little whereas the exchangeable K decreased with time. 5. The N content in soybean leaves was not correlated with soil total-N, but highly correlated with the K content in soybean leaves. The Mg content in soybean leaves was also highly correlated with Ca content in suybean leaves and exchangeable Mg in soils.

대두의 안전증수를 위하여 합리적인 비배관리 및 토양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일반 농가의 대두재배 포장을 대상으로 대두엽과 토양을 채취 분석하였다. 본조사에서는 경기도 13개, 충청남도 5개 및 충청북도 6개 포장 등 24개 대두재배 포장에서 대두 생육기(파종 50~60일 후, 1988년 7월)에 토양과 대두엽을, 수확 직후 (1988년 10월)와 이듬해 파종 전(1989년 4월)에 토양을 채취하였다. 이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의 pH는 4.8~6.8범위였으며, 수확기의 pH는 평균 5.4로서 생육기의 5.7에 비하여 낮았다. 2. 토양중 교환성과 활성 Al함량은 토양의 pH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토양의 pH가 낮을수록 교환성과 활성 Al함량은 높았으며, pH 5.8이상에서 교환성 Al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3. 수확기의 토양의 전질소와 유효인산 함량은 생육기에 비하여 낮았다. 특히, 유효인산은 생육기와 수확기는 물론 파종기에 채취한 토양에서도 상당히 높았다. 4. 토양중 교환성 Ca과 Mg함량은 수확기와 생육기간에 별 차가 없었으나, 교환성 K함량은 수확기의 경우 생육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5. 대두엽중 질소함량은 토양중 전질소함량과는 상관이 없었으나 대두엽중 K함량과는 상관이 높았다. 대두엽중 Mg함량 역시 대두엽중 Ca함량과 상관이 높았으며, 다른 성분과는 달리 토양중 Mg함량과도 상관이 높았다.

Keywords